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기억이추억되길
기억이추억되길24.01.26

수술 전에는 왜 금식을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나이
36
성별
여성

모든 수술을 하기 전에 금식하라고 하는데,

왜 금식을 해야되고 물조차 마시면 안되는건가요?

음식을 먹거나 물을 마시게 되었을 때, 수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금식의 이유는 전신 마취 여부나 수술 부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금식 지시를 어길 시 수술이 늦춰지거나 다시 수술 일정을 잡아야 할 수 있으므로 잘 지키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수술 전 금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시행됩니다.

    • 구토나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

    수술 전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면, 수술 중 구토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구토나 메스꺼움으로 인해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기도에 들어가면 흡인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흡인성 폐렴은 폐에 음식물이나 위액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 수술 중 마취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수술 중 마취를 하면, 환자의 소화기 기능이 마비되어 음식물이 위장에 머물게 됩니다. 음식물이 위장에 머물게 되면, 마취제의 약효가 감소하고, 수술 중 구토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수술 후 회복을 돕기 위해서

    수술 후에는 소화기 기능이 회복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수술 전 금식을 통해 소화기 기능을 회복시켜 두면, 수술 후 회복을 돕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음식을 먹거나 물을 마시게 되었을 때, 수술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토나 흡인성 폐렴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 마취에 영향을 받아 수술 중 호흡 곤란,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술 후 회복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 금식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수술 전 금식 시간은 수술의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라 금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술 전 금식은 매우 중요한 의료 지침입니다. 이는 주로 마취를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한 조치로, 특히 전신 마취를 필요로 하는 수술에서 필수적입니다. 전신 마취는 의식을 잃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 과정에서 환자의 기도 보호 반사가 감소합니다.

    금식을 하지 않고 수술을 받을 경우, 마취 중 구토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이때 구토물이 기도로 역류하여 폐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를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이라고 하며, 심각한 호흡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 금식은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안전 조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전신마취 전에는 금식이 필요합니다. 전신마취 시 기도삽관을 진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구역반사가 유발되는 편이며 실제 구토가 발생하는 경우 기도로 이물이 넘어가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철저히 금식해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음식, 물 모두 먹으면 안됩니다.

    수술을 하게되면 전신마취를 하고 똑바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받습니다.

    그런데 마취제의 부작용으로 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식을 하지 않으면 많은 양의 토를 하게 되고, 무의식 상태이기 때문에 토사물이 기관지를 통해 폐로 들어갑니다.

    심한 경우 기도가 막혀 질식사할 수 있고, 최소한 폐렴은 걸립니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반드시 금식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정 의사입니다.

    전신마취 시 가끔 환자들이 구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환자가 누워서 구토를 하는 경우 흡인성 폐렴 발생 가능성이 있고 심한 경우 기도 막힘으로 인한 저산소증, 저산소성 뇌병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