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36일인데 탯줄이 안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태어난지 36일 된 남아 엄마인데요
아직 탯줄이 안떨어집니다.
탯줄이 안떨어져서 탕목욕도 힘들고 염증생길까봐 걱정도 되네요.
영유아검사때 외과를 가보라고 권고하던데
아이가 배앓이를 계속해서 분수토를 하는 등 컨디션이 좋지않아 병원 오가고 긴시간 대기하기가 꺼려집니다.
조금 좋아지면 가고싶고 그전에 떨어졌으면 하는 마음이큰데 언제쯤 떨어질까요?
또 간다면 위험해지기 전에 가야할텐데 마지노선이 언제일까요?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복통이 지속되는 경우, 대기 시간이 짧은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은 저절로 떨어지지만 염증이 있는 경우, 영아라고 해도 항생제
처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생후 36일 된 아이의 탯줄이 아직 떨어지지 않은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탯줄이 떨어지는 시기는 아이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생후 1~2주 이내에 떨어지지만, 3주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탯줄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탯줄이 너무 길거나 굵은 경우
탯줄에 염증이 생긴 경우
아이가 조산아인 경우
탯줄이 떨어지지 않아도 염증이 생기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탯줄이 검게 변하거나 악취가 나거나, 탯줄 주위가 빨갛게 부어오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염증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탯줄이 떨어지지 않아서 탕목욕을 하기 힘들다면, 탯줄을 깨끗이 씻고, 탯줄 주위를 깨끗한 거즈로 감싸서 탕목욕을 하시면 됩니다.
영유아검사에서 외과를 가보라고 권고하셨다면, 아이의 컨디션이 좋아지면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탯줄이 떨어지지 않아도 아이의 건강에 큰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드물지만, 염증이 생기거나 기타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으므로, 염증이 생기기 전에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탯줄은 태어난지 7-21일 사이에 떨어지며 평균적으로는 10-14일에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6일이라면 다소 지연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마지노선이 딱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평균 기간이 지난 만큼 불편하더라도 병원에 가보시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