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무리나 해무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달 주위에 둥그렇게 두른 구름 같은 테를 달무리라고 하고, 해 주위에 둥그렇게 두른 구름 같은 테를 해무리라고 하는데요. 달무리나 해무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대기중의 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태양 또는 달의 빛을 산란시켜서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미세한 먼지나 입자들의 영향도 받을수 있다고 하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달빛이나 햇빛이 대기 중의 얼음 결정에 들어가면, 빛이 굴절되고 이때, 빛이 얼음 결정 내부에서 꺾이는 각도는 약 22도 정도로 일정하기에 빛이 얼음 결정들을 통과한 후에 우리 눈에 도달할 때 둥근 고리 형태의 빛이 나타나게 됩니다. 빛이 얼음 결정의 표면에서 반사되기도 하며, 이러한 반사된 빛이 굴절된 빛과 함께 고리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지요~ 달무리나 해무리는 무지개처럼 약간의 색깔을 띠게 되는데, 이는 빛의 굴절과 반사로 인해 빛의 파장이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안쪽은 약간 붉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푸르스름한 색이 나타나지요~ 그러나 달무리의 경우, 달빛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무리는 주로 흰색이나 희미한 색깔로 보입니다. 해무리는 햇빛이 강해 좀 더 뚜렷한 색깔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