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달무리나 해무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달 주위에 둥그렇게 두른 구름 같은 테를 달무리라고 하고, 해 주위에 둥그렇게 두른 구름 같은 테를 해무리라고 하는데요. 달무리나 해무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대기중의 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태양 또는 달의 빛을 산란시켜서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미세한 먼지나 입자들의 영향도 받을수 있다고 하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달빛이나 햇빛이 대기 중의 얼음 결정에 들어가면, 빛이 굴절되고 이때, 빛이 얼음 결정 내부에서 꺾이는 각도는 약 22도 정도로 일정하기에 빛이 얼음 결정들을 통과한 후에 우리 눈에 도달할 때 둥근 고리 형태의 빛이 나타나게 됩니다. 빛이 얼음 결정의 표면에서 반사되기도 하며, 이러한 반사된 빛이 굴절된 빛과 함께 고리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게 되는 것이지요~ 달무리나 해무리는 무지개처럼 약간의 색깔을 띠게 되는데, 이는 빛의 굴절과 반사로 인해 빛의 파장이 분리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안쪽은 약간 붉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푸르스름한 색이 나타나지요~ 그러나 달무리의 경우, 달빛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무리는 주로 흰색이나 희미한 색깔로 보입니다. 해무리는 햇빛이 강해 좀 더 뚜렷한 색깔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