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헐벗은실오라기114
헐벗은실오라기11423.01.16

노을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일출이나 일몰을 보면 붉그스레 노을이 생기는 데요

한낮엔 그저 색없는 태양빛인데 뜰때나 질때 노을빛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고도각과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낮에는 태양의 고도가 높아 태양으로부터 나온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지구 대기의 두께가 저녁에 비해 비교적 짧아 산란하는 빛이 적어 하늘이 푸르게 보입니다. 그러나 저녁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고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져 통과해야 하는 대기층이 길어지며 낮에 비해 산란하는 빛의 양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파장이 짧고 산란하는 각도가 작은 파란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길고 산란하는 각도가 큰 빨간 빛만이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집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기울기가 작아지니, 통과해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해서 노을 빛이 붉어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노을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액체상의 물질을 총칭하는 ‘에어로졸’의 양에 따라 노을이 만들어집니다. 공기 외의 다른 입자들이 떠다니면 빛을 산란시키게 되는 원리입니다.

    지구는 대기로 둘러싸여있고,태양빛은 이 대기를 통과하며 들어오게 되는데이 과정에서 태양빛은 ‘산란’을 하게 되면서 빛의 파장에 따라서 붉은색등의 노을이 만들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