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3.17

완벽을 추구하는 우리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아직 초등학교 1학년 저희 아이는 자체 시험에서등 하나만 틀려도 너무 분통해 하고 자신에 모른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아 너무 우는등 모습을 보이는데요... 너무 부모로서 걱정이 되서 어떻게 이런 모습을 완화 시켜 줄수 있을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완벽을추구하는아이의경우 가정에서결과로인한칭찬을 많이받아서그래요

    이래서잘했네 이러한 과정적 혹은 끝마친것 칭찬은없고 잘한것위주로칭찬을해서그러한완벽추구가나타납니다

    앞으론아이의활동자체에지지해주시고 완벽할필요는없음을이야기해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완벽을 추구하면 본인은 물론 주변사람을 피곤하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해도 문제가 없다는걸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실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일반적인 성장 과정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이를 돕기 위해 아이에게 성공과 실패는 모두 배움의 기회라고 이해시키고, 잘못을 만들어낸 원인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함께 찾아보세요. 칭찬과 격려를 통해 노력과 발전을 인정하고, 실수를 허용하며 그로부터 배우는 경험으로 받아들이도록 도와주세요.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자신감을 키우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주세요. 함께 공감하고 대화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잘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럴수있습니다

    이러한 마음에 대해서 공감해주되 아이에게 틀린것은 괜찮다고 이야기해주고 부모의 경험이있다면 그러한것을 이야기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완벽한 성향인 경우 아이의 타고난 성향을 존중해주세요.

    다만 아이가 실패를 통해 배우는 것이 있다는 것을 여러가지 활동을 통해

    스스로 인식시키는 체험 등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원석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혹시 부모님께서 백점 받을 때와 굉장히 잘했을 때만 칭찬을 한 것이 아닌지 되돌아보셔야합니다.

    예전 과거에 아이의 잘한 점만을 칭찬하다보면 아이들을 칭찬을 듣고 싶어서 더욱 스스로에게 엄격해지고 높은 결과만을 원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하는 과정이지 모든 것을 잘 해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사람은 완벽할 순 없다 라는 것을 알려주세요.

    신이 아닌 이상은 실수는 누구나 다 경험한다 라는 것을 말을 해주시면서 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해서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자신이 못했다 라는 사실에 우는 것보다는 왜 자신이 그 문제를 틀렸는지 점검하고 파악한 후 다음 번에는 실수 하지 않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더 좋은 모습 이라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완벽을 추구하는 아이는 성공 추구 동기가 강합니다. 시험 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성취감을 느꼈기 때문에 점수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다음 기회도 있다고 다독여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