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똑똑한파리매91
똑똑한파리매9123.02.05

자기부상열차는 어떻게 앞으로 가는건가요?

자기부상열차는 어떤 원리로 앞으로 가게 만드는 건가요? 자석원리를 이용해 열차를 뜨게 하는건 알겠는데 빠른속도로 앞으로 가게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5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자기부상열차가 움직이는 방식은 레일과 열차간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움직이게 됩니다

    열차가 떠있기때문에 훨씬 빠르게 이동 할수 있게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기부상열차는 바퀴가 없는 즉, 전기자석의 N극과 S극의 흡인력과 반발력을 응용, 차량과 레일이 떨어져 공간이 유지된 상태로 달리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땅과 열차가 닿지 않은 채 ‘날아가는 열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충청북도 오송에 150m 길이의 초고속 자기부상철도용 단거리 시험선을 구축했으며, 길이 13m, 폭 3.5m, 무게 28톤의 시험차량 1량을 제작하여 현재 부상 및 추진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력 양극의 흡인력과 반발력을 이용해 열차를 띄우고 또 추진력을 얻습니다.

    말씀대로 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1㎝ 정도 띄운 상태에서 궤도의 리액션 플레이트와 리니어모터에 자력을 발생시켜 추진력을 만듭니다. 이 때 1초에 약 4000번 이상의 자력 극변화가 생깁니다.

    즉 1초에 수천번의 극변화를 통해 밀어내는 힘을 만들어 열차를 띄우고 밀어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석은 같은 극끼리 미는 힘이 작용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열차 바닥과 선로를 같은 극의 자석으로 만들어 열차가 뜨게 한 것이 자기 부상 열차입니다 열차가 선로 위를 뜬 채로 움직이면 마찰이 없으므로 매우 고속으로 달릴 수 있습니다


  • 자석이 같은 극이면 반발력이 생기는 것이 자기부상 열차의 원리 입니다.

    전류가 변하면 자기장이 생기는데 1초에 약 4천번 정도의 전기를 껐다 켰다해서 자기장을 만듭니다.

    이 자기장으로 열차가 약간 뜨게 되어, 마찰력 0에 수렴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