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복받은북극곰
복받은북극곰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빠르게 진행되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책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개인과 사회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령화 사회는 유엔 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그리고 14% 이상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라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2025년 고령 인구 비율이 20.6%가 넘는 초고령 사회가 전망됩니다.

    이와 같은 고령 사회를 위해 출산율 등 노동 인구 지원을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물론 노인 일자리 등 노인들의 일자리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합니다. 또한 고령자를 위한 사회 안전망 강화를 강화하고, 노인 건강 및 관리 인프라, 요양 등 노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그리고 노인들의 사회 참여 프로그램(취미, 문화 등) 등을 개발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향햐 가는 시점에서 해결 방안은 노동력 인구 지원 정책을 통해 사회 안전망 강화하고 노인 건강 관리 및 의료 인프라 강화 그리고 사회 참여 활성화하며 도시 계획 및 인프라 구축하고 기술적 지원 및 연령 인식 변화 그리고 정년 연장과 퇴직 후 노인의 재취업 장려등이 해결책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고령사회에로의 진입은 영국의 15년 일본의 10년에 비해 불과 7년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수십조의 돈을 들이고서도 출생율을 높이지 못하고 있으며 0.8에서 0.6으로 출생율은 더욱 더 낮아지고 있습니다. 주택 의료 교통 교육 등 정주환경을 개선하고 사람들이 편하게 살 수 있도록 주변 여건을 조성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선 출산률을 회복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고 고령화에 따른 의료지원책도

    필요합니다. 또한 노후에도 수입을 만들수 있도록

    연금제도나 노후에도 일할수 있는 사회체계를

    우리 모두 합심해서 만들어 가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