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조건은 뭐가 있을까요?
tmf 별생각없이 사서 마음고생하고 있는데요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제가 해방된다는건 알겠는데
많이 복잡해보이더라구요
제가 대충 어떤 뉴스를 기다려야하는지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이 금리인하를 하기 전 여러 지표를 예의주시하는데, 고용지표(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등이 주요 조사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 기준금리는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2개 위주로 보고 결정하는데요 일단 물가가 이번에 낮게 나와서 9월 인하확률 90프로입니다 올해 2번 인하하게되길 기대해봐야죠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물가상승률입니다.
현재, 연준이 목표로 하는 물가상승률은 2.3% 정도이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이 이를 달성하게 되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저도 TMF 꽤 많이 사서 고생하고 있습니다. 일단 올해 연말쯤에는 금리인하를 할 것 같은데 가장 중요한 게 물가 상승률 입니다. 이번에도 물가가 나쁘지 않게 나왔지만 여전히 소비자 물가지수가 3%로 나왔습니다. 물가 지수가 2% 중반 정도는 나와줘야 금리인하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린 제일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코로나 시절 경기부양을 위해 풀린 많은 돈에 의해 인플레이션이 걷잡을수 없이 증가했었습니다. 이걸 잡기위해 금리를 올리는 정책을 펼쳤었는데, 금리인하가 되기 위해서는 물가지수가 잘 잡히는지를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하는 조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 연준이 참고하는 지표로는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지수 등이 있고
이를 토대로 결정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내려가야합니다. 목표는 pce물가 2프로인데, 딱 2프로가 아니더라도 2.몇프로인데도 앞으로 추세적으로 더 내린다고 본다면서 내릴 수 있습니다.
그다음 실업률같은 고용지표입니다. 고용이 나빠져야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내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조건은 경제가 어려워질 때입니다. 예를 들어, 실업률이 높아지거나 물가가 너무 낮아질 때 금리를 낮춥니다. 그래서 경제 뉴스에서 실업률 상승이나 물가 하락 같은 소식을 기다리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파월 연준의장은 발표되는 경제지표를 보고 금리 향방을 결정하겠다고 했고 연준이 주목하는 경제지표는 물가와 실업률입니다. 따라서 금리가 인하되기 위해서는 물가가 내려가야 하고 실업률은 올라가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기 위하여는 7월 지표에서도 소비자물가지수가 2%대가 나오며 더불어서 실업률이 올라가는 등의 조건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