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미술

나는야넉루노탱이
나는야넉루노탱이

고흐의 작품이 노란색 계열인 이유가 있다던데요..?

얼핏 듣기로 고흐 작품이 노란색인게 어떤 값싸고 독한술 중독현상으로 주변이 노랗게 보이는 현상때문에 그런거라는 썰이 있다고 하는데, 맞나요?

그 술 이름이 뭔가요?? 요즘은 도수가 높으면 비싼 술인데, 과거에는 다른이유가 뭐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네덜란드 출신 화가 빈센트 반 고흐(1853~1890). 그의 그림에는 유난히 노란색과 소용돌이 형상이 많다. 인류가 사랑하는 작품 <별 헤는 밤>에서도 노란 회오리가 곳곳에 있다. 자신의 귀를 자른 후 요양원에 있으면서 병실 밖에서 본 밤의 모습을 그렸다는데, 절망의 어둠도 몽환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고흐는 자화상뿐만 아니라 많은 그림을 누렇게 그렸다. 의사들은 그것이 질병에서 기원했을 수 있다는 지적을 한다. 시야가 노랗게 보이는 황시증(黃視症)을 의심한다. 그 근거는 고흐가 디지털리스라는 약초를 복용했기 때문이다. 당시에 이 약초는 구토나 우울증 등 다양한 분야에 쓰였다. 고흐가 그린 자신의 주치의 ‘닥터 가셰 초상화’에도 의사 앞에 디지털리스 약초가 놓여 있다.

    디지털리스는 ‘황색 시력’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초 성분은 훗날 심장박동을 세게 해주는 강심제 ‘디곡신’으로 개발돼 널리 쓰였다. 이 약이 과잉 투여된 심장병 환자 중에 눈앞에 노란 필터가 낀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는 이가 있다. 약을 끊으면 대개 노란 시야가 사라진다.

    망막에는 색을 구분하는 적색, 녹색, 청색 등 3가지 색각 세포가 있다. 디지털리스는 빨강과 초록 인지를 어렵게 하여 그 보상으로 시야를 노랗게 한다. 고흐 작품에는 본래 녹색이어야 할 초목도 노랗게 그려져 있곤 한다. 과다 복용 시 노란 시야를 일으키는 산토닌 성분이 들어간 ‘압생트’라는 술을 고흐가 즐겨 마셨다는 설도 있다.

    출처: 조선일보 고흐 작품처럼 사물 노랗게 보이면 ‘중심성 망막염’을 의심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파리를 점령한 녹색요정이라 불리는 압생트 라는 술이 있었는데 알콜 도수가 40~70%에 달하는 독주였습니다.

    고흐는 압생트에 포함된 산토닌 성분에 중독되어 부작용으로 황시증이 생겼다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흐의 작품이 노란색 계열인 이유는 고흐의 병과 관련지을수 있다고합니다.

    고흐는 죽어서 유명하고 훌륭한 화가가 되었으며 생전에는 행복한 삶을 영위하지 못했습니다. 무명의 화가에다가 정신불안, 우울증 등으로 몇 차례 자살시도를 하기도 하고 같이 작업실을 쓰던 고갱과 다툼을 벌인 후 고갱이 나가버리자, 자신의 귀를 직접 자른 일화도 있습니다.

    그런데 고흐에게는 또 한가지, '황색시증'이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이 하나 있었다고합니다.

    황색시증의 주요 증상은 사물이 노랗게 보이는 것이라고합니다. <별빛 빛나는 밤에> <해바라기> <밤카페> 같은 고흐의 유명 작품들 중에 노란색 톤이 많이 들어간 것도 이 황색시증이란 비밀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신경 손상에 따른 황시증때문입니다.(최근의 연구에 의해 밝혀진 사실입니다)

    당시 유럽에서는 '압생트'라는 술이 유행했는데요, 압생트에 매혹됐던 고흐는 그 림이 뜻대로 그려지지 않을 때면 취하도록 압생트를 마셨습니다.

    라고 하는데 해석이 모두 다르니 참고만 하세요^^~~

    답변자 역시 생각이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먼저, 고흐의 작품에서 노란색이 많이 사용된 이유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고흐의 작품에서 노란색이 독특하게 두드러지는 이유는 그가 노란색을 사랑했기 때문입니다. 고흐는 편지에서 노란색이 '행복'과 '사랑'을 상징한다고 썼습니다. 그러나, 고흐의 생애 마지막에 그의 작품은 점점 노란색으로 치우치게 됩니다. 그의 이런 색채 변화는 그의 정신 상태와 건강 문제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는 몇몇 연구자들의 견해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로는 고흐가 "아브신"이라는 술을 마셨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습니다. 아브신은 과거에 흔히 마셨던 술로서, 그것의 활성 성분인 투진(thujone)은 과다 복용 시 환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각 중 하나가 노란색이나 녹색으로 보이는 현상인데, 이런 이유로 고흐의 작품에 노란색이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설 중 하나로, 고흐의 작품에 노란색이 많이 등장하는 정확한 이유를 알 수는 없습니다. 고흐의 노란색 사용은 그의 정서적 표현, 그의 환경, 그의 사랑하는 색채, 그리고 그의 건강 상태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함께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흐는 노란색을 좋아했지만… 노랑, 그 치욕의 역사 - naver Post

    naver.comhttps://post.naver.com › viewer › postView

    2020. 4. 1. — 예술 작품에서 간통한 여인 종종 노란색 옷차림 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입니다. 간통 속임수 한 형태로 간주하여 노란색과 결부했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