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사과가 전해진 때는 언제인가요?
사과는 영양소가 풍부해서 아침에 먹으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사과가 전해진 때는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사과가 언제 들어왔는지가 궁금하군요.
사과가 들어온 것은 1655년 조선 효종 때 인평대군이 청나라 연경에 사신으로 갔다가 사과나무를 수레로 싣고왔다는 야사가 있고, 현대에 재배되는 사과 종이 들어온 것은 1900년경입니다. 한 미국인 선교사[가 대구의 일교차 큰 날씨를 보고 세 종류의 사과나무를 들여왔으며,[그중 미주리 품종이 살아남아 이후 대구를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됐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야생 사과는 중앙아시아와 중국 대륙 사이에 위치한 톈산 산맥과 타림분지가 우너산지로 이후 전 세계에 퍼지게 되었는데 서양의 경우 고대 그리스나 로마 사람들이 주로 재배했고 그 후 유럽전역으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유럽에서 개량된 사과나무는 17세기 미국에 전파되어 사과나무 재배는 미국의 주요 산업 중 하나로 발전되었고 동양의 경우 중국에서 1세기경에 재배한 기록이있고, 중국에서 한국과 일본에 전파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어로는 사과(沙果)라 쓴다. 향미성분과 육즙이 풍부하여 널리 애용되는 과일로 지름이 3∼10㎝이고, 편구형이며, 양끝이 들어갔다. 과피는 황색 바탕에 붉은 빛이 돌며 9∼10월에 익는다. 성숙함에 따라 상당량의 전분이 당분으로 분해되므로 잘 익은 것은 퍽 달게 느껴진다.
향미성분으로는 여러 가지 유기산이 있으나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말산(malic acid)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연중 구입할 수 있는 과일이다.
1892년(고종 29) 미국인 선교사가 처음 심기 시작한 이래 우리나라 기후에 알맞아서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다. 재배의 주산지는 경상북도이며, 품종은 홍옥·국광·인도·왜금 등 다양하다. 주로 날로 먹고 있으며 음료와 양조·잼·건과·통조림 등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