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달리트는 왜 카스트 제도 계급에 포함되지 않나요?

중학교 사회 시간 때 카스트 제도에 대해 배웠는데, 카스트제도는 4가지의 계급이 있고 제일 낮은 계급 수드라가 천민이나 노예가 있다고 알고 있었는데, 우연히 서핑을 하다가 수드라보다 더 낮은 불가촉천민 달리트라는 계급도 인도에서 존재 하더군요. 그럼 왜 달리트를 카스트 제도에 넣지 않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도의 불가촉천민을 일컫는 말로 10억여 명의 인도 인구 중 약 20%를 차지합니다. 카스트에 따른 인도인의 신분은 브라만(승려), 크샤트리아(왕이나 귀족), 바이샤(상인), 수드라(피정복민 및 노예, 천민) 등 4개로 구분되는데, 달리트는 최하층인 수드라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불가촉천민이란 단어는, '이들과 닿기만 해도 부정해 진다'는 인도인들의 생각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불가촉천민은 계급(카스트)제도 밖의 구성원으로 인간사회의 한 부분이 아니라 그 아래 있는 무엇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가장 비천하다고 여기는 직업에 종사해왔습니다. 오물 수거, 시체 처리, 가죽 가공, 세탁, 도기 제조 등이 주로 그들의 몫이었죠.


    일반인들은 그들과 접촉하거나 심지어는 그림자가 스치기만 해도 오염된다고 생각했고 일부 남부지방에서는 그들을 보기만 해도 오염된다고 생각했기에 불가촉천민은 밤에만 활동해야 했습니다. 또한 그들에겐 사원 출입이 금지되고, 마을 공동우물의 물을 긷는 것도 허락되지 않았으며, 신발을 신을 수도 없었고, 버스나 기차에 빈 자리가 있어도 앉을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극단적 차별은 19세기 말까지 성행했습니다.


    20세기 들어서면서 불가촉천민의 인권운동과 카스트 철폐운동이 시작되었는데 1930년대 마하트마 간디는 그들에게 신의 자녀라는 의미의 하리잔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이름에 숨어 있는 동정적 의미에 반발하며 스스로를 핍박받는 자라는 뜻의 달리트라 부르기 시작했으며 오늘날 달리트는 불가촉천민의 대표적 명칭이 된 것입니다.


    [출처 - 한국희망재단 블로그]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카스트 제도는 고대 인도지방의 정복활동의 산물이라 알려져 있는데요, 정복한 사람들이 정복당한 사람들을 지배하기 위해 만든 신분제입니다. 지배겨급도 분화가 되고 피지배계급도 분화가 되는데, 지배계급은 종교를 담당하는 브라만을 최고계급으로 정치를 담당하는 크샤트리아를 하위계급으로 분화되었지요. 피지배계급은 평민과 노예로 분화되는데, 주로 노예는 고대적 산물인데 정복활동을 통해 생깁니다. 그런데 정복활동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예전 노예와 최근의 노예가 분화된 것이고 가장 낮은 차별을 받은 것이 불가촉 천민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