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리츠보험 접수면책 (다른사고번호로 추가접수)
실손 청구를 했는데요 . 작년1월에 인공관절 수술을 하시고 실손 보상을 받고 1년동안 염증으로 인해 고생하시다가 올해 재수술 이야기를 들으시고 병원에서 2달정도 제거수술과 입원하시고 퇴원하시고 나서 보험금 청구를 했습니다 같은 질병사유이구요.
저번주 목욜 오후에 서류들을 청구를 하고 나서 물론 주말은 끼여있엇지만 아무런 소식이 없어서 아버지 매리츠앱 들어가보니. 접수면책(종결) 이렇게 떠있고 진행현황에 다른사고접수번호로 추가접수 이렇게 떠있더라구요 이건 멀 의미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에는 동일질병이나 동일사고로 일한 상해의 진료 치료는 면책기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보상이 안되는 기간입니다 가입된 실비의 세대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전 1세대 상해의료비에서는 상해는 면책기간없이 180일만 보장하기도 합니다 이후 90일 면책기간이 있을 수도 4세대실비는 면책기간이 따로 없기도 합니다 어쩌면 그래서 1년이 지난 사고라서 다시 접수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호 보험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상황이 있을수 있습니다. 현재 가입되어있는 실손의 가입시점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으로, 현재 딱 떠오르는것은..
최초입원일이 작년 1월이라 말씀하셨고 현시점으로 2달정도 입원후 퇴원하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실손 가입시에 따라 다르지만, 최초입원일로부터 365일 이후 90일면책이 존재하는 실손에 기가입되어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그렇게 보신다면, 올해 1월부터 90일동안은 면책이기 때문에 면책시점에서 다시 입원을 하시어 치료를 받게되어 보상에서 제외되지 않으셨나 하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해당 실손가입시기와 면책조건을 파악하시는것이 우선일듯합니다.
16년1월 이후의 실손가입자라면 해당되지 않습니다. 5천만원 소진후 90일면책입니다.
해당 회사의 보상담당자연락처가 있으실텐데 확인을 해보시는게 좋으실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해당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험사에서는 앞선 것과 같은 건데 이번에 왜 신규로 접수하셨는지를 생각하면서
이 청구 건은 면책 때리고 기존(추가) 건으로 재 접수로 변경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접수면책(종결) 이렇게 떠있고 진행현황에 다른사고접수번호로 추가접수 이렇게 떠있더라구요 이건 멀 의미하는건가요
우선 접수면책이라고 하면, 해당 접수사고는 보상처리 대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는 예상하건데, 기존청구와 다른 사고로 보험청구를 하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새로운 사고가 아니라고 보험사가 판단하여, 해당 접수것은 면책 종결처리하고, 다른 접수번호 즉 기접수번호에 추가 접수로 재접수하여 보상처리를 한다는 것으로 큰 의미 없습니다.
기 접수번호로 추가접수된 것으로 보상처리를 받으시면 됩니다.
면책은 보험회사에서 보상책임이 없다는 뜻 입니다.
보상책임이 없어 보험청구건에 대한 종결 처리했다는 의미 입니다.
보험회사에 연락하여 구체적인 내용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보험은 같은 질병에 대해서 중복 보상이 안됩니다. 실제 의료비로 손해를 본 만큼만 보상이 되기 때문에 기존 보험에서 보상금이 나갔다면 다시 보상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접수면책이 나온 것입니다. 중복보상은 실손보상에서는 면책사유에 해당합니다.
다른 사고접수로 추가접수라는 것은 작년 1월에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실손보상을 받은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실손보상의 경우에는 산재보험에서 산재처리가 된 경우에는 이것 역시 중복보상이 되어서 보상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실손보험이 아닌 수술비 보험이 있다면 수술비보험으로는 중복보상이 가능합니다. 수술비 보험의 경우에는 수술을 할 때마다 보상이 되기 때문에 중복 보상도 가능해서 실손이 아닌 이 경우에는 수술비 보험으로 보험금을 청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