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이 1000만원 이하면 많은걸까요 적은걸까요?
일반 회사원의 빚이라고 하고요
대출이나 그런 빚이 670만원 가량이 있다고 한다면
빚이 많은 편이라고 봐야 되는걸까요 아니면 적은 편인지 궁금합니다.
성인들의 평균 빚이 보통 얼만지도 궁금하고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이대에 따라 빚의 수준도 달라지지만 빚 670만원은 20대 이상 모든 연령과 비교해도 많은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가계 부채 수준은 전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약 9,334만 원입니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40.3%로 추산했다고 합니다.
물론 이 가계 대출에는 주택을 구매할 때의 대출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따라서, 단순히 670만원이 많냐 적냐를 논하기에는 어려워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코인 및 주식 빚투 실패로 어려움을 겪은 사람들이 많은 걸로 압니다.
그런 거에 비하면 670만원은 충분히 빨리 상환할 수 있는 금액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회사원이 670만 원의 빚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많다고 할 수도 적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빚이 많다고 느끼는지는 개인의 수입과 지출에 따라 다릅니다. 월급의 큰 부분을 빚 갚는 데 사용해야 한다면 부담이 클 수 있지만 여유 있게 갚을 수 있다면 덜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성인들의 평균 빚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한국의 가계부채는 최근에 상당히 증가한 상태라서 많은 사람들이 일정한 빚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빚을 관리할 때는 월급의 30% 이상을 빚 상환에 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1,000만원 이하면 빚이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주담대는 기본적으로 억단위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대출 역시 원금과 이자를 납부하며 월에 몇백씩 은행에 납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000만원 이하의 대출은 전체적인 가계대출과 비교해도 많은 편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층의 평균 대출이 1.1억
신혼부부의 평균 대출이 1.6억 정도라고 합니다.
물론 이 수치는 주택에 관한 대출도 끼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신용대출만 비교하신다면 조금 다를 수는 있는데요. 그래도 천만원이라면 적은 수치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가구당 부채액 평균액은 9,186만원이라고 합니다.
부동산을 대다수 국민들이 은행에 빚을 지고 구매하다보니 부채가 약 1억원 가까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에 따라 다양하고다고 생각이 듭니다. 회사원 의 나이때도 중요하고요. 또한 빚이 생긴 이유도 각기 다를껀데 초년생이면 보통 학자금 대출 빚이 많을꺼고 나이가 들면 자가나 다른 필요한 부분에 따라서 빚이 있을 수 있지요. 어떤 상황인지 애매해서 답변을 정확히 못하나 빚이 생긴 부분과 앞으로 변제할 부분을 챙겨보시는게 도움이 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회사원의 빚이 1,000만 원 이하인 경우, 그것이 많은지 적은지는 개인의 소득 수준, 생활비, 자산 상태와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670만 원의 대출이 있을 때, 그 부담은 개인의 재정 상황에 따라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월 소득이 높고 생활비가 낮다면 이 정도의 빚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있지만, 소득이 낮고 생활비가 높은 경우에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인 빚 수준을 고려해 보면, 각 나라의 경제 상황에 따라 개인의 평균 부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한국의 경우, 가계부채가 GDP 대비 높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670만 원의 빚은 상황에 따라 큰 부담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결국, 빚이 많은지 적은지는 절대적인 금액보다는 개인의 재정 상황과 상환 계획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빚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과 더불어, 체계적인 상환 계획이 마련되어 있다면, 금액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하였을 떄,
차주 1인당 가계부채가 전국 평균 약 8900만원으로
1천만원 이하라면 상당히 적다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성인 1인당 빚을 정확히 확인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국가 전체 부채를 사람 수로 나누면 나오기는 하겠지만 그것은 질문자님이 말씀하시는 개념과는 정확한 것은 아닌 것 같구요
빚이 1000만원 있으시다라고 하시면 중요한 게 집이 있냐 없냐가 큰 것 같습니다. 집이 있고 대출 1000만원이다. 하면 적은 편이고 집이 없는데 빚이 1000만원이다 하면 많은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빚이 670만, 1000만원 이하라면 상당히 적은 겁니다.
사회생활에 돈은 필수입니다.
돈을 활용해 돈을 벌어 빚은 갚으면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