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킴다니엘
킴다니엘

일상의 코인 결제망 보편화 까지 몇년 뒤 쯤 가능할것으로 보시나요?

이미 일부 국가 에선 스테이블 외 코인도 라이센스를 부여 받아 결제 인프라 확장 중 인데요. 최근 일본도 한국 보다 먼저 나서서 스테이블 및 자산 토큰화 사업을 가속화 에 나섰는데, 선진국들 중 가장 더딘 한국 기준 코인 실생활 결제망 이 보편화 되려면 몇년 뒤 정도로 보시는지 다양한 견해 공유 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미국 같은 경우에는 비자와 연계된 가상자산 웹3플랫폼이 연계되어 실물카드 서비스를 하고 있고 바이비트 카드라는것도 이미 존재합니다. 거기다가 해외에서는 실제 다양한 통화를 테더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으로 바꿔주는 문페이라는 사업자도 있으며 이들인 실물결제까지 확대하고 있고 남미같은경우에는 이미 자국의 통화를 잘 쓰찌 않으므로 온라인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하는 군소 온라인몰까지 생겨나고 있습니다

    즉 이미 달러스테이블코인은 실물결제망으로 조용히 확대하고 있고 이게 점점 커지면서 한국에도 영향을 주면서 내년도까지 한국에도 법제화가 빠르게 되는만큼 조만간 한국도 실물결제 서비스가 나온다고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상에서 코인 결제망이 보편화 되기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스테이블 코인이 보편화 되는 것과는 별도로

    코인이 실행활에서 사용될 가능성은

    저는 제로에 가깝다고 보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상에서 코인이 결제 수단으로 쓰이기는 아직까지 많은 장애물이 있습니다. 가격 변동성을 어떻게 잡아낼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무엇보다도 큰데, 일부 세력들이 다수의 코인을 보유하는 경우가 있어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10년 이내에 힘들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이 실생활에서 결제가 보편화 되려면 우선 정책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이 도입되어 일반 화폐를 대체할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인프라도 갖춰줘야 하기 때문에 아직 단기간 내에 가능한 일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으로 편의점에서 바로 계산하는 그림은 다들 상상은 하지만 당장 체감하기는 어렵습니다. 제도와 규제가 아직 까다로운 편이고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코인을 결제수단으로 허용하는 게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일본이나 유럽처럼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서두르는 나라들도 있지만 실제 상용화까지는 인프라 구축과 사용자 신뢰 확보가 관건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최소 5년은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많고 빠르면 3년 내 시범 서비스가 확산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다만 결제망 보편화라는 건 단순 기술 문제보다도 정책과 사회적 수용성에 좌우된다는 점에서 속도는 생각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일상에서의 코인의 결제가능이 실현되려면 코인에 대한 법적인 규제나 보호법 마련 등이 우선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최소한 2~3년이 걸릴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외에 대부분의 오프라인 시장에서의 결제 매뉴얼 등을 만드는데 2년 정도를 소요한다고 보시면 이러한 약 5년의 기간이 지나면 일상에서도 코인으로 결제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그전에 스테이블 코인은 어떤것으로 할지, 그리고 어떠한 기준으로 결제를 할 수 있게 할 지등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결제망의 보편화는 기술 문제보다는 규제와 제도 정비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현재 일본, 싱가포르, EU는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정비하며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있지만 한국은 아직 제도적 불확실성이 큽니다. 실제 생황결제 수준으로 확산되려면 금융 당국의 법적 틀(스테이블코인 법제화, 과세 규정 등) 마련과 카드, PG사 같은 기존 결제 인프라와의 연동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