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부산그랑죠
부산그랑죠23.02.05

자동차 뒷 유리 썬팅되어있는 데 오래되었는지 기포가 생겨난거 없애는 방법이 있을까요?

자동차 뒷유리에 썬팅에 기포처럼 일어나는데

이걸 없애는 방법이 있을까요? 열을 가한다던가 바늘로 찔러 뺀다던가?새로 교체하는 방법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향기로운오랑우탄126입니다.

    극단적으로 뒷유리 썬팅되어진 모습을 그려 보았습니다.

    뒷유리 눈 녹이는 용도의 열선은 자동차 유리 내부가 아닌 외부

    내측면 에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그 두께로 인하여 썬팅을 하였을때 공기층이 형성 되는데요.

    공기층 내에 있는 공기가 열팽창을 하게 되며, 부풀어 오릅니다.

    이때 제조 노하우가 없는 국산 필름들이나, 외산 필름 중 제조방식이 잘못된 필름의 경우~!!!

    접착면이 유리와 필름의 접착을 유지하지 못하고 들뜸이 발생되어 에어터널이 형성됩니다.

    그 에어 터널을 통하여, 팽창된 공기가 유입된 후, 에어 터널이 닫히게 되면 기포가 잡히게 되죠.

    그렇다고 뒷유리에만 생기는가? 그건 또 아닙니다.

    유리에 인쇄된 글자들은 내측에 양각으로 인쇄가 이루어집니다.

    인쇄 잉크의 두께에도 약간의 공기층이 형성 되기에 전면과 측후면 모두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층을 많이 보유하지 않았기에 글자 주변으로만 기포가 발생되게 됩니다.

    각 필름들은 곡면에 부착을 하게 하기 위하여, 열반응으로 수축을 기본으로 합니다.

    저가의 필름들은 열성형 수축을 통하여 접착층이 데미지를 입기에, 기포의 발생이 많은 것입니다.

    현재 까지 기포발생 필름 리스트에 3M제품군, 루마 PRO, V-Tech, 넥스필, 켈란 등등 많은 필름이 있죠.

    일부 매장에서 작업자의 스킬부족을 기포발생의 원인으로 꼽으나, 비율로는 10%내외 정도입니다.

    참고로 기포발생 필름 리스트에 속하지 않은 SKC 와 프로하이텍등 저가형 국산 필름들은...

    열차단기능이나, 시인성등을 고려하지 않은 저품질필름이 주를 이루기에 리스트에 넣지 않았습니다.

    자동차 유리 기포 발생 해결방법

    이제 원인은 알았으니, 해결 방법에 대해서 몇자 적겠습니다.

    거의 모든 불편함은 외관상 보기흉함 및 운전 시 시야 확보의 애로사항이 대부분입니다.

    기포 발생이 필름을 통해서 발생 된것이니 만큼 그냥 제거하면 되는게 아니냐 라고 생각들을 하시는데요

    그냥 제거를 하게 되면, 접착제로 붙어 있던 열선이 함께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제거마저도 힘들게 필름의 내구성이 떨어져서 조각 조각 떨어지게 되는데요.

    전문점에 꼭 의뢰를 하셔야만 합니다.

    조금 더 저렴할 수 있다고 일반 매장에 맡기게 되면 필름을 제거후 공업용 PB-1이라는 약재를 분사합니다.

    계면활성재의 일종으로, 필름 제거후 유리면에 남게 된 접착제를 녹이는 용도로 사용되는데요.

    눈을 녹이는데 사용되는 자동차의 열선 또한 접착제로 붙어 있으며, 열선의 재질인 '동'을 부식시킵니다.

    쉽게 열선 자체가 떨어지던지 아니면 PB-1의 침투로 열선이 부식이 일어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