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021년에 알약백신 나오나요?
지금 알약백신 만들고 있다는데 내년에 알약백신이 한국으로 들어오나요?
알약말고도 다른 백신도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먹는 백신은 아직 시기상조입니다.
현재 개발 중인 백신이나 치료제 관련된 내용은 회사 차원에서 기밀 사항입니다. 관련 내용은 회사 내부 인사들만 알 수 있고, 그것을 유출해서도 안됩니다. 때문에 의료인들은 알 수가 없습니다.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는 내년 2월에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경구용 백신이 나오는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경구용 치료제와 경구용 백신은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FDA에서 승인된 먹는 치료제로 알려진 머크의 치료제의 경우 실제 임상에서 기대했던 효과를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향후 효과적인 먹는 치료제의 출시는 화이자의 치료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알약백신은 아니고 알약 치료제가 현재 개발완성후 FDA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백신은 코로나로 부터 감염이 되지 않도록 예방을 도와주는 역할이고 치료제는 백신에 감염된 '후' 에 치료를 위해 먹는 약입니다.
2가지의 역할이 다르므로 치료제가 나온다 하더라도 백신은 맞아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백신에는 감염 예방 뿐만아니라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 이상과 사망을 줄여주는 역할 또한 있는데
치료제의 역할이 중증 환자에서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이라 이러한 측면에서는 백신과 치료제의 효과가 비슷할 수도 있습니다.
알약이 아니더라도 일본에서 마시는 치료제 역시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해당하는 부분은 의료적인 부분이 아니어서 크게 돕기는 어렵습니다.
해당 부분은 제약회사 및 국내 사정과 맞아야 가능한 부분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지금 알약백신 만들고 있다는데 내년에 알약백신이 한국으로 들어오나요? 알약말고도 다른 백신도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이스라엘 등에서 알약백신 임상중이라 언제 나올지 아직은 미정입니다
본 게시판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된 의학적인 상담을 하는 곳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문의하신 신약 출시 일정에 대한 사항은 코로나 관련 의학적인 내용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상담 및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관련 내용은 의사 및 약사 선생님들도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지난 10월 1일 미국의 머크사는 몰누피라비르를 1일 2회 총 5일간 투약한 결과, 외래 환자 중 7.3%만 입원한 반면 위약군 환자는 14.1%가 입원하면서 처방군의 입원률이 절반에 불과했고 투약군에서 사망자는 없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FDA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였습니다. 11월 5일에는 화이자의 발표에 따르면 화이자의 팍스로비드는 입원이나 사망 확률이 89퍼센트까지 감소시켰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FDA에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제약회사가 경구용 코로나 19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아래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에 대한 기사를 발췌한 것입니다.
미국 제약사 머크(MSD)와 화이자는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긍정적인 임상 중간분석 결과를 공개하며 팬데믹을 끝낼 '게임체인저'의 등장을 알렸다.머크는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로 '몰누피라비르(영국 제품명 라게브리오)'를, 화이자는 '팍스로비드(성분명 PF-07321332/리토나비르)'를 개발했다.위약과 비교한 결과를 보면, 몰누피라비르는 29일 동안 입원 또는 사망 위험을 50%, 팍스로비드는 28일 동안 입원 또는 사망 위험을 89% 낮췄다.연구 디자인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두 치료제 모두 입원하지 않은 경도~중등도 코로나19 환자에게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공통된 결론이다. 출처 : 메디칼업저버(http://www.monews.co.kr)
위와같이 현재 먹는 치료제가 개발 중에 있으며 이것의 효과에 따라 감기처럼 대할 수도 있다고 기대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경구용백신 개발 완료 소식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치료제를 잘못 알고 계신게 아닌가요?
코로나 치료제도 현재 지속적으로 개발 연구 중이나 100% 코로나에 대처가 되는건 아닙니다. 머크사의 치료제는 실제 그 효능이 30%로 많이 낮춰진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바는 중증으로 진행을 낮춰주고 그에 따른 사망률을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약제 부작용이 아직 완전히 알려진것도 아닙니다. 심각한 부작용이 생겨서 사용중단 될수도 있습니다.
현재는 예방이 최선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현재 복용하시는 백신은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백신이 아닌 치료제는 곧 상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신약개발은 굉장히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됩니다.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는 것부터 시작해서
사람한테 중대한 부작용이나 이상반응을 일으키지 않는지
임상을 거치는데도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현재 미국 제약사 머크가 알약 형태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를 성인에게 사용하도록 긴급사용승인(EUA)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입니다.
화이자의 경구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사용 승인을 신청할 예정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알약백신은 구조적으로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출시할 계획은 없습니다.
2. 경구용 치료제는 개발하고 있으며 MSD의 몰누피라비르 임상 3상 결과가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1년안에 출시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먹는 치료제 말씀하시는것같네요
현재 미국 머크사와 화이자에서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임상 단계에 있습니다. 몰누피라비르(molupiravir) 성분의 치료제 입니다. 현재 긴급사용승인 신청 상태이며 빠르면 올해 안에 승인 될 것 같습니다. 현재 항체치료는 입원하여 정맥주사로만 치료가능한데 위드코로나 진행시 확진자 증가로 인해 의료시스템이 무리가 갈 수 있으나 먹는 치료제 개발시 경증환자들은 자가 치료가 가능해지게 되니 이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것 같습니다. 다만 아직 임상단계에 있으며 약의 단가가 고가라는 부분은 해결해야 할 부분으로 보입니다. 먹는 치료제는 백신과는 다른 약으로서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이 되는건 변하지 않습니다. 치료제가 개발되어도 백신 접종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먹는 백신은 이제 임상 시험을 이스라엘에서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먹는 백신이 나온다고 해서 효과가 있을지, 부작용이 적을지, 과연 주사제를 대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오미크론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2개의 돌연변이 (델타변이의 2배)가 있어 기존 백신 회피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백신회사에서 업그레이드 백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2주내 기존백신 효용성 확인, 100일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경구백신은 일부 회사에서 개발을 진행하고는 있지만, 출시예정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