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도금을 하는 기본적인 원리 및 가짜판별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요즘은 장식품이나 귀금속 류, 그리고 각종 식기류에도 도금이 일반적인데요.

이 도금이라는게 기본적으로 어떤 원리로 하는 것인가요

핫도그 소세지에 밀가루 반죽 묻히듯이

도금할 재료를 녹은 금속에 담궜다 빼는 건 아닐텐데요.

도금할 재료금속에 어떤 식으로 깔끔하게 도금이 되는 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도금도 두께가 있을 듯한데

도금에 있어서 두께조절도 일정하게 가능한 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도금은 일정한 두께의 금속 층을 다른 금속의 표면에 적층하여 보호하거나 장식하는 기술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도금은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반응을 통해 도금할 금속의 이온을 용액에서 분리하고, 다른 금속의 표면에 적층하여 도금층을 형성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금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전해질 도금에서는, 도금할 금속과 도금할 금속을 양극으로 하는 전해액을 이용합니다. 도금할 금속은 양극 중 양극인 '음극'에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면서 금속 이온을 분리해냅니다. 이러한 금속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양극에서는 이러한 금속 이온들이 축적되어 도금층을 형성합니다.

    도금의 두께는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도금층의 두께는 도금 시간과 전류량, 전해액 농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변수들을 조절하여 도금층의 두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귀금속에서는 거의 전기적인 방법으로 분해 코팅을 합니다 금도금 은도금이 있지요 그리고 코팅이 잘되었는지를 확인하기위해서 주 성분이 예를 철에 금도금을 하였다면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면 저항치에 따라 코팅이 되었는 지 안되었는지 확인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도금의 경우 전기도금(electroplating)과 무전해도금(electroless plating)법이 있습니다.

    전기도금의 경우 도금할 물체와 도금 금속을 전해질 용액에 담궈, 전기를 흘려줌으로써 도금이 되는 원리이고, 무전해 도금의 경우 화학반응을 이용한 도금 방법을 말합니다.

    도금 두께의 제어는 전해도금의 경우 전류, 시간, 전해질 농도 등의 공정변수를 조절하며 두께 제어를 하며, 무전해 도금의 경우 반응시간, 반응 농도 등을 제어하여 두께를 제어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도금은 단순히 녹인 금속에 재료를 담갔다 빼는 방식이 아니라, 전기와 화학적 과정을 이용하여 금속 입자를 조립하는 정교한 기술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전기 도금은 전해질 용액에 도금할 금속이 녹아있는 상태에서 전류를 통해 음극에 금속 원자를 이동시켜 도금합니다. 도금 두께는 전류 밀도와 도금 시간을 조절하여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