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22.12.30

착시 효과가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착시 효과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눈으로 본 것과 뇌에서 인식한 것과 차이가 발생해서 그런 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에서 보이는 것과 뇌가 인식하는 것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여기서 오는 괴리감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즉 눈에서는 사과를 보는데 뇌에서는 다른 정보가 들어오는거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나의 간상세포가 자극에 반응하면 인접한 다른 간상세포에도 신호를 직접 전달하여 반응을 억제시키는 측방억제(Lateral inhibition)가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명암 대비가 뚜렷한 시각 자극들을 동시에 받으면, 그 경계면에서 자극의 수용이 억제되어 착시가 발생한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30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착시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첫 째로는 사물의 이미지를 받아들이면서 착각을 일으키는 글자 그대로의 착시 현상입니다

    1. 두 번째로는 명암, 기울기, 움직임, 색상 등 특정한 자극의 과도한 수용으로 인해 일어난 물리적 착시입니다

    1. 세 번째로는 뇌가 눈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무의식적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착시입니다.

    이처럼 동시대비는 강조하고자 하는 색을 더 밝게, 혹은 더 어둡게 보이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동시 대비는 실제의 색과 사람이 지각하는 색의 차이를 의미하는데요,

    진하지 않은 회색의 경우에는 주변색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동시대비가 강하게 나타납니다.

    동시대비는 색상 뿐 아니라 명도, 채도를 모두 다르게 지각하도록 하는, 상대적인 시각 현상입니다

    순응 현상이란 색에 대해서 눈이 적응하는 과정과 적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어떤 물체를 계속 보고 있으면 그 물체의 색과 조명광에 익숙해지기 때문에

    조명에 의해 물체색이 바뀌어도 자신이 원래 알고 있던 물체의 색으로 색을 인지하는데,

    이를 색순응 현상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