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드레싱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경제신문과 잡지를 읽다가 보면 어려운 경제용어가 나와 이해하기 어려워 질문을 올립니다. 경제용어 중에서 윈도드레싱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윈도우 드레싱은 펀드 매니저, 투자 고문 또는 중개 회사가 보고 기간 종료(예: 분기 종료) 전에 실적을 개선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구성을 변경하는 금융 업계의 관행입니다. . 이는 변경 사항이 일시적이고 보고 기간 종료 후 취소되더라도 고객에게 더 유리한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 수행됩니다.
윈도우 드레싱은 실적이 좋은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 보고 마감일 직전에 실적이 저조한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잘 다각화되고 수익성 있는 포트폴리오라는 인상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윈도우드레싱이란 상품을 파는 매장을 가거나 백화점과 같은 다양한 상품을 파는 곳을 방문하게 되면, 소비자들의 눈에 확 들어오도록 화려하거나 혹은 좋은 물건 위주로 매장을 장식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경제에서는 이와 비슷하게 기관투자가들이 12월의 결산을 앞두고 본인들이 투자하고 있는 종목들의 종가관리를 통하여 본인의 운용중인 펀드의 수익률을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이유는 자산운용사나 펀드매니저들의 경우 연말의 수익률을 토대로 연봉협상을 하게 되는데, 연봉협상시 더 높은 연봉을 받기 위해서는 이 수익률 관리가 해당 운용사나 매니저의 평가항목이 되기 때문입니다.
수익을 별로 내지 못한 운용사나 매니저를 찾는 고객들은 당연히 줄어들테니 백화점에서 화려한 것을 배치하는 것처럼 이들 또한 자신들의 포트폴리오에서 수익률이 낮은 것들은 매도를 하고 수익률이 좋은 것들 위주로 리밸런싱을 하는 것이 결국 윈도우드레싱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윈도우드레싱을 하기 위해서 억지로 본인이 보유한 종목의 주가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종가 매수로 가격을 끌어올리는 행위들은 '포트폴리오 펌핑'이라고 하여 불법행위로 간주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Window Dressing은 회사, 펀드 또는 포트폴리오 관리자가 보고 기간 말(일반적으로 분기 또는 1년)에 보유 자산의 모양을 변경하는 관행을 설명하기 위해 금융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펀드 매니저는 보다 유리한 성과를 내기 위해 보고 기간 말에 손실 포지션을 매도하고 수익 포지션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재무 상태를 더 강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단기 부채를 청산하거나 장기 부채를 별도의 법인으로 옮겨 대차대조표에 있는 부채의 양을 일시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분식회계'라고 하는데, 실적이 좋지 않은데 그럴싸하게 회계장부를 조작해 실적이 좋은 것처럼 위장하는 '위장 회계'의 일종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