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긍정적인나비꽃
긍정적인나비꽃

아이가 원하는것 어디까지 해주시나요?

아이가 원하는걸 다들어주시나요?

어느정선까지만 해주실거같은데

그선을 못정하겠네요

다들 어떻게 선을 정해두셨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원한다고 해서 무조건 다 들어주며 사주다보면 버릇이 없어지기도 하고 사주지 않을경우 때를 부릴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사주기 보다는 합리적인 가격안에서 사줄수 있는 적정선을 지키는 것이 좋으며 타협점을 보고 사주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부모는 아이가 원하는 것 중 안전하고 건강에 이롭지 않은 것, 그리고 사회적, 윤리적 기준을 벗어나는 것을 아이가 선택할 경우 훈육하신다는 기준을 가지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는 아이가 부딪히면서 시행착오를 겪을 수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고 내려 놓으시면 아이는 건강하게 잘 성장할것입니다. 부모님이 기준점을 정하신것에서 그 선만 지키시고 이외의 것에서는 아이를 믿어주시길 바랍니다. 물론 대부분의 부모님이 내려놓지 못하셔서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으시지만 이러한 과정중에 아이도 부모님도 성장하는 것 같습니다. 먼저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바라는 기준점을 세우시고 그 기준점을 가지고 대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으실 것이라 조언드리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처음에 하는 모든것은 좋아하고 하고 싶어 할겁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모든것을 들어줄 수는 없다고 생각하니다. 남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행위 같은 경우에는 피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것을 한번 해주기 시작하면 하는방법을 터득하고 해도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가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위험한 행동은 절대로 단 한번이라고 허용해주시면 안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걸 다해줄 수는 없습니다

    부족함을 모르고 자라는 아이들은 경제 관념도 떨어질 뿐 아니라

    배려심도 부족하게 되어 사회적인 무리에 잘 어울리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정해진 선은 없고 일반적으로 평균에 비슷하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또래 친구들 일주일 용돈이 1만원 인데 5만원이나 10만원을

    원해서 준다면 일반적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각 가정마다 부모님들 마다 정해놓은 그 기준이 다르실 텐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보통 아이가 했던 것을 또 반복적으로 사달라고 하거나 해달라고 원하는 경우, 필요없는 것들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단호하게 제한을 둡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원하는것을 모두 들어주는건 현실적으로 어렵고 아이버른이 나빠집니다 그래서 아이가사달라는거에 일일이 반응하기 보나는 이번달에 사기로 한 것의 액수 및 갯수를 정해놓고 이걸 지키도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