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양반과 중인은 관리가 되었을 차이점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신분제로 양반과 중인이 관리가 되기위해 시험을 치룰수 있는 종류가 다랐다고 하던데요~ 그럼 양반과 중인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양반은 문무 관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문관은 문과, 무관은 무과 시험에 합격해야 관직에 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인은 양반과 상민의 중간에 위치한 계층을 말합니다. 중인이 되기 위해서는 기술관에 진출하는 것입니다. 기술관은 역관, 의관, 율관 등 전문직을 말하며 관청에서 치루는 취재를 통해 진출하거나 특별 임용으로 가능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라민경 전문가입니다.

    중인은 현대로 따지면 대부분 전문직종으로 역관/의관등이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과거시험 중 문/무과보다는 잡과에 응시하였고 역관/의관등은 올라갈 수 있는 품계가

    높지는 않았습니다.

    과거제도의 기본원칙은 양인이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지만 과거시험에 응시하기위해서는

    돈도 많이 들기때문에 신분이 낮으면 도전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또한 양반아 아닌 계급은 과거시험에 합격하더라도 정3품당하관 까지만 오를 수 있었으며

    실제론 가장 주요직인 삼사쪽에는 임용될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