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강제적이고 강매식으로 하는 보험설계사들이 많았던 거 같은데요 요즘 세대교체가 되면서 주변 분위기는 좀 어떻게 되고 있을까요
과거에는 강제적이고 강매식으로 하는 보험설계사들이 많았던 거 같은데요 요즘 세대교체가 되면서 주변 분위기는 좀 어떻게 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요즘은 세대교체가 진행되면서 변화가 있고, 주변 분위기도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설계사 채용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MZ세대의 비중이 늘고 디지털 전환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보험사들은 업무 방식도 젊게 바꾸고 있습니다.
비대면 보험 설계 및 가입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강제로 가입해야하는 의무가 아닙니다 혹시 가족이나 친구 또는 친적이 보험설계사인 경우에 가입해줄 수 밖에 없는 애매한 관계라해도 본인이 싫으면 보험료의 부담은 본인 몫입니다 가입도 좋지만 유지가 되는것이 더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 설계사들이 고객 중심으로 상담하는 게 중요해졌습니다.
과거처럼 강매식은 거의 사라지고 있고 고객이 충분히 정보를 비교하고 선택하는 시대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10년 전만 하더라도 보험 설계사 시험만 보고 보험에 대해서는 정작 이해도가 떨어지는 분들이 보험을 설계했습니다 사람에 맞추어서 설계하는게 아니고 그저 자신에게 수당이 많이 떨어지는 거 그런 거에 여러 편법을 쓰면서 가입을 시켰죠 지금은 많은 공부들을 하고 있습니다 맞춤 설계죠
안녕하세요. 김윤식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의 경우 여전히 자신이 선택하여 가입하는 비중보다는 주변 설계사의 권유로 가입하는 것이 여전히 높습니다 단 과거의 비해서는 해당 사례가 감소하고 잇고 소비자도 현재는 여러 보험을 비교 분석하여 가입하는 추세를 보이고 잇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요즘은 그렇게 고객 유치를 하지 않습니다.
즉, 최대한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종호 보험전문가입니다.
고객들도 정보가 많이 오픈되어있어서 막무가내로 가입이 힘들어요
그리고 무리한 보험은 문제가 될 수 있기에 고객 상황에 맞게 보험설계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