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기준금리는 그대로 가는건가요 ? 궁금해요

한국은행은 25년 7월 기준금리를 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어요. 고령화 주택가격 상승으로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금리인하가 금융안정성을 위협할수있다는 판단이라는데 맞는 판단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둔화인 상황에서는 금리 인하를 통해 시중에 자금 유동성을 공급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가계부채와 경기 회복 사이의 균형도 중요하죠.

    현재 한국 사회는 고령화로 소비보다 부동산 자산 선호하는 부분의 영향이 커서 주택가격 상승, 가계부채 확대 등의 문제가 있을수 있습니다.

    이를 중간에 조율하는 것이 중요해 한국은행 판단으로 동결한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25bp내릴것도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금리인하가 필요하나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으로 그동안 금리인하를 하지 않았으나, 최근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가 다소 진정됨에 따라 경제성장을 위해 금리를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해당 판단이 맞는지 아닌지는 사실 시간이 지나서 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습니다. 현재에는 최선의 선택을 한 것으로 생각을 하더라도 실제 결과로는 그렇지 않을수도 있고, 또 반대의 경우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좀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주신 것처럼 기준금리 동결은 금융안정성을 위협할 요소는 분명히 존재하고 저도 그 의견에 동의하긴 합니다.

    그러나 기준금리를 내리게 되면 어디서든지 분명 부채에 대한 수요가 분명 늘어날 것이고 한국은행 측에서는 단기 경기 부양 효과보다 장기 부채 리스크를 억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크기에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기준 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한국의 경제 사정이

    기준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기에 어렵다고

    한국 은행이 판단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작년부터 일관적인 입장을 유지해왔습니다. 우선 가장 중요한것은 내수경기가 좋지 않다는것은 인정하였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점은 가계부채가 GDP대비 2배이상 증가하고 있다는 점과 정부와 기업 가계중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게 우려스럽다는 판단입니다 그러면서도 서울 중심으로 가격이 지속적으로 크게 올라가는것을 경계하였다는점입니다 즉 현재의 물가와 가계부채상황을 최우선적으로 보고 있는게 현재의 한국은행과 이창용총재의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더욱 벌어지기 때문에 이는 단기적으로 환율의 변동성을 키우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는 점입니다

    즉 지금은 내수경기에 대한 우려는 인정하나 이부분에 대한 심각성이 더 크다고 진단하기 때문에 금리동결을 유지를 표방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내릴 타이밍 아니냐는 얘기 많았죠. 물가도 좀 잡힌 것 같고 성장률도 낮은데 왜 안 내리냐는 분위기였는데 한국은행은 정반대로 본 것 같습니다. 지금 금리를 건드리면 부동산 가격 더 자극할 수 있고 그게 결국 가계부채로 이어지면서 금융불안으로 번질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특히 고령층이 늘면서 고정소득 기반이 약해진 상황에서 대출 부담이 커지면 소비 위축도 생기니까 더 위험하다고 본 것 같습니다. 제 판단으로는 금리 동결이 아주 보수적이긴 한데 지금 상황에서는 납득 가능한 선택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7월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했으며, 최근 물가 안정과 경기둔화, 부동산 과열 등 복합적인 상황을 감안해 신중한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아. 당분간 데이터 기반의 점진적 완화, 즉 조건부 동결 기조가 지속될 전망이나, 연내 추가 인하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