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가 바다에서 생활하다 상류로 거슬러가는 이유
연어가 바다에서 생활하다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것은 알고 있습니다.
이게 산란을 하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 왜 굳이 바다 놔두고 상류로 올라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어는 회귀본능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가 태어난 곳으로 가서 산란을 하지요. 연어가 회귀본능을 가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이유가 밝혀진 것 같지는 않아요. 예전엔 하천의 냄새를 기억하고 있다가 그곳으로 돌아온다고도 했었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자기장에 의해 회기한다고 그러네요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건 연어의 치어가 생존하기에는 바다보다 강이 더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어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 산란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는 귀소본능에 의해서 입니다. 연어는 삶의 최후를 태어난 강 상류로 올라가서 산란하는 것이 삶의 운명이기 때문에 그렇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어는 본능적으로 자신이 태어난 곳으로 간다고합니다
그래서 태어난 강 상류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어 같은 일부 생물들은 자신이 태어난 장소로 돌아가려는 귀소본능(회귀본능)을 가집니다.연어는 태어나는 건 강의 상류지만 자랄 때에는 해양으로 이동해서 거기서 생활합니다.그러다가 알을 낳을 때(산란기)가 되면 다시 강으로 이동해서 산란합니다.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신의 살던곳으로 돌아가는데요 그래서 강을 거슬러 올라가요 희귀본능이라고 도합니다. 태어나서 바다 나가기전 태어난곳에서 6개월정도 살다 떠나는데 태어난곳 물맛과 냄새을 잊지못해서 이기도 하고 산란위해서도 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알과 치어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로 추정됩니다.
민물 하천은 바다보다 연어 알과 치어가 포식자로 부터 살아남는데 더 적합한 환경입니다.
또한 민물 개울은 수온이 더 낮고 염도가 낮으며 풍부한 산소와 숨을 공간이 많아 포식자가 적어 연어 알과 치어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