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연산군의 어떤 모습 때문에 흥청망청이란 말이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최고의 폭군으로 유명한 연산군은 악행도 많이 저질렀던데요~ 그런데 연산군의 행동에 의해 흥청망청이란 말이 생겨났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연산군의 어떤 모습 때문에 이런 말이 생겨났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연산군은 즉위 후 여러가지 기행들을 보였는데요. 성격이 흉폭 했던 것은 기본으로 전국의 미녀 10,000명을 뽑아 궁궐로 모집하는 채홍사 라는 관리까지 파견하게 되죠.
이러한 미녀 중에서도 특히나 미모가 뛰어나고, 노래도 잘하고 춤도 잘 추는 미녀들을 "흥청"이라고 불렀는데 이러한 "흥청"으로 대표되는 연산군의 패악질이 "망청"으로 이어졌다는 유희적인 표현으로 "흥청망청"이라는 부정적인 의미가 만들어진 것이죠.
사실 대표적인 "흥청"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장녹수 였으며, 장녹수에 빠져서 미쳐서 살았던 연산군이 결국 중종반정으로 왕위에 쫓겨나 유배를 가고 장녹수는 참형에 처해진 것으로 본다면 "흥청망청" 맞는 표현이죠!
흥청망청은 연산군의 방탕한 생활을 비판하며 생긴 용어입니다. "이렇게 흥거리다가는 나라가 망하겠다.'라는 의미입니다. 연산군은 재위기간 기생 중 미모가 뛰어난 이를 선발하여 궁궐로 불러들이고 이들을 '흥청'이라 불렀습니다. 흥청은 맑음을 일으킨다는 말입니다. 연산군은 이들과 함께 방탕한 생활을 암삼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