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똘똘하고멋진쿼카
똘똘하고멋진쿼카

우리나라(국장)보다 미국주식(미장)이 낙폭이 더 심한 이유는 뭔가요?

국장과 미장 모두 관심을 가지며 보고있는데 국장보다 미장이 낙폭이 더 큰 이유는 뭔가요? 오르면 10% 확 오르다가 또 떨어질때는 10%로 확 떨어지는데.. 변동성이 더 큰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미국은 상한가 하한가 제한도 없습니다. 그래서 심하게 떨어지는 주식들이 전체 지수 및 변동성을 키우기도 합니다. 또한 워낙 많이 오르니까 많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밀물처럼 들어갔다가 썰물처럼 빠지는 것은 수요와 공급이 많다는 얘기고 거래량이 많다는 얘기겠지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별로 사람들이 관심이 없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이 국장보다 더 큰 낙폭을 보이는 이유는 변동성이 크고, 글로벌 투자자들의 영향이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시장은 더 많은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경제지표나 금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또한, 기술주와 같은 성장주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경제 불확실성이나 금리 인상 시 큰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는 우리나라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상당히 큰 시장입니다. 거래량도 많고 전세계에서 유입이 되기 때문에 유동성이 크고 거래량이 많습니다. 또한 상한가나 하한가 제한도 없으며 기축통화인 달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율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합니다.

  • 미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증시를 가지고 있고 그만큼 시장 참여자들이 많습니다. 금융시장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달한 미국이기 때문에 그만큼 거래대금도 크고 수많은 투자자들이 활동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비해 변동성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증시보다 미국 증시의 낙폭이 더 심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 증시에는 상한, 하한가도 없고

    변동성이 매우 심합니다.

    즉, 오르기도 빠르고 많이 오르지만 반대로 내리는 것도 비슷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 시장보다 더 많은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고 특히 실적 발표에 따른

      방향이 큰 것이 특징입니다

    • 또한 시가총액이 낮을수록 변동성이 매우 심한 편에 속하지만 큰 지수로 볼 때는 우리나라

      보다 변동성이 적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미국장이 우리나라 증시랑은 다르게 상한가 하한가가 없다는 점도 있지만 미국시장 주도주들도 시총이 어마하게 커도 뉴스에 훨씬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투자자들 성향차이가 큰거 같아요

    미국 기관투자자들은 아니다 싶으면 한방에 다 날리고 좋다 싶으면 폭풍매수하고 뉴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과 민감도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큰게 가격변동성도 미국이 그래서 더 큰거 같습니다

    위험자산은 대응의 영역같습니다 질문자님은 대응 잘 하셔서 큰 수익 보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미장)이 한국 주식(국장)보다 변동성이 큰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미국 시장은 전 세계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글로벌 시장이기 때문에 자금 이동이 크고 빠릅니다. 둘째, 미국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시장이 주도하는데, 기술주는 성장 기대감으로 큰 상승을 보이지만, 금리 변화나 경제 우려로 인해 하락 폭도 큽니다. 셋째, 미국 투자자들은 적극적인 단기 매매를 선호하며, 레버리지 투자와 옵션 거래가 활발해 변동성을 더 키웁니다. 마지막으로, 미국 경제 및 연준(Fed) 정책 변화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므로 투자 심리가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반면 한국은 비교적 안정적인 대기업 중심의 시장 구조와 보수적인 투자 성향 덕분에 변동성이 적은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같은 경우에는 상하한가폭의 제한이 없고

    더불어서 실적에 따라서 주가에 곧장 반영되는 등

    이에 따라서 변동성이 크다고 보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근래 사례의 경우 트럼프 2기 행정부 기대감으로 미국 주식의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또한 한국과 달리 미국 주식으니 하루 등락폭 제한이 없습니다. 그래서 근래 변동성 장세에서는 미국 주식의 등락폭이 더 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