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향기로운수달9
향기로운수달9

아래층이랑 인사말, 머리말은 왜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나요?

아래층이랑 인사말, 머리말은 왜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나요?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고 고유어와 한자어의 합성이니까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하는 게 맞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힘찬고라니1557
    힘찬고라니1557

    안녕하세요. 힘찬오랑우탄265입니다.

    일반적으로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고 고유어와 한자어의 합성이면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합니다. 하지만, 아래층, 인사말, 머리말은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아래층은 '아래'와 '층'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입니다. '아래'는 고유어이고, '층'은 한자어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고 고유어와 한자어의 합성이면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합니다. 하지만, '아래'는 앞 단어로 쓰일 때는 '아래에', '아래에서'처럼 모음 '에'나 '에서'를 붙여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사이시옷을 붙이면 발음이 어색해지므로, 사이시옷을 생략하는 것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인사말, 머리말도 마찬가지입니다. '인사'와 '말', '머리'와 '말' 모두 고유어와 한자어의 합성어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하지만, 발음이 어색해지므로 사이시옷을 생략하는 것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한편, '아래층', '인사말', '머리말'을 사이시옷을 붙여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발음상 어색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용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