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1학년 남 공부를 안해요...
공부를 전혀 안해요. 아침에 눈 떠서 잘 때까지 핸드폰... 중간고사 시험 준비도 안하고 시험기간에도 가방도 안가져가고 요즘은 아에 학교에 다 있다고 가방을 안가져가요...
얘기 하면 자기가 알아서 한다고 하고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등학생의 아이면 아이와 진지한 대화를 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훈육이 아닙니다)아이와 목표세워 주세요. 특히 미래의 나의 모습을 상상하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 아이가 공부를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부만이 인생의 길은 아닙니다.
아이가 공부에 흥미가 없다면 어떤 것에 관심이 있는지 관찰해 보세요.
그리고 아이가 하고 싶은 것이 있다고 하면 적극적으로 지원해주세요.
하기 싫은 공부하라고 다그친다면 아이와 관계만 나빠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등학교 1학년이라면 오히려 이러한 이야기를 잔소리로 들을수있겠습니다
공부하라는 이야기보다는
아이와 우선 소통을 해보도록 해주는것이 좋으며
아이와 관계를 조금더 긍정적으로 해주시는것이 좋을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부를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실 심리적인 겁니다. 공부 방법은 다음 문제죠. 좋은 학업 성적을 거두려면 자녀에게 아주 사소한 일이라도 ‘할 수 있다’는 경험을 많이 하게 해야 합니다. 할 수 없다는 패배감이 계속 학생들을 공부에서 도망가게 해요. 자녀가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려면 부모가 먼저 자녀를 믿어줘야 합니다. 공부 방법을 알려주기 전에, ‘내 자녀는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세요. 자녀에게 던지는 말 한마디, 자녀의 행동에 보이는 반응 하나하나가 모두 차곡차곡 자녀의 몸에 저장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진지하게 이야기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공부를 아예하지 않는 것은 미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반드시 찾아야 한다고 말을 해주시는 등
아이의 미래에 대하여 진지하게 이야기를 나눠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중학교 때 생활은 어땠나요?
중학교 때는 잘했는데, 갑자기 공부를 놔 버린거면, 아이 주변 환경에 큰 변화가 있을 수 있으니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학교 담임 선생님과도 상담을 통해 아이의 학교 생활에 대해 여쭤 보기 바랍니다.
중학교 때도 공부에 전혀 관심이 없었다면, 고등 공부는 더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이럴 땐 학원 보다는 아이 성향을 체크해서 맞는 과외 선생님의 지도를 받게 해주시는 게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이야기를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무작정 방치도 무작정 잔소리도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루에 한시간이라도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어느정도 합의점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어느정도
계획표를 함께 수립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계획을 같이짜보고 적어도 1시간이라도 공부를 할수있도록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