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원랜 추석에 용돈 주는 문화는 언제생겼나요

제가 알기로는 설날 신정에만 세뱃돈을 주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그냥 축제 개념이었던 추석문화에서 언제부터 아이들에게 돈을 주기 시작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추석의 전통놀이에 소놀이를 했는데, 머슴을 뽑아 농우에 태워 마을을 누비고 다녔으며, 여름 동안 수고가 많았으므로 위로하는 것이고 영광을 안겨주는 일이 됩니다.

    상머슴으로 뽑히면 일을 잘하였기 때문에 다음해 많은 새경을 받게 되는데, 새경은 머슴이 주인에게서 한 해동안 일한 대가로 받는 돈이나 물건을 말합니다.

    추석에 용돈을 주는 것은 풍습은 아니었으나 시대가 변함에 따라 먹고살기가 여유로워지면서 생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설날에 새배를 하면서 새뱃 돈을 주는 문화는 원래 오래된 우리의 전통 이지만 추석에 용돈을 주는 것은 사실 우리 문화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냥 오랜 만에 보는 조카들, 혹은 손자 손녀들에게 삼촌이나 할머니 할아버지 들이 반가워서 용돈을 챙겨 주는 것이지 정해진 문화는 아닙니다. 이런 문화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핵 가족화 되면서 따로 살기 시작한 1980년 이후의 문화처럼 발달 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