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8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가 조선을 도와주러 와서 소극적으로 대처했던 이유는 무엇인지 역사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임진왜란 때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여 명으로 진격을 하려 하였으나 명나라가 구원병을 보내 조선군과 의병등과 함께 일본에 맞썼는데 당시 명나라가 조선을 도와주러 와서 소극적으로 대처했던 이유는 무엇인지 역사적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3.04.08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나라도 국력이 쇠퇴하고 있었고

    명나라 또한 지상전에서 조총을 든 일본군을 제대로 상대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의 나라에 와서 전쟁을 하는데 죽고 싶지 않읁것입니다.

    그래서 전쟁하는 시늉만 하는 것입니다.

    이순신장군의 피나는 노력 끝에 도와준것입니다.

    모든공을 명나라 장군에게 주었구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론만 먼저 예기 하면 명군은 그럭저럭 제 역할을 해냈으며, 7년동안 각지에서 명군과 조선군이 연합해서 많은 전투에서 활약했고 절대 소극적으로 한 것만은 아닙니다. 명군의 참전으로 인해 조선군의 사기는 크게 올라갔다고 하고 .더불어 명군이 대규모의 육군을 파병하게 되면서 조선은 그때까지 유지하던 군인들을 고향에 돌려보내며 숫자를 줄이게 된다고 합니다. 한때 17만에 육박했던 조선군은 명군의 참전이후 크게 줄어든다고 합니다.따지고 보면 임진왜란 당시의 명군은 후반의 조선 조정의 주요 딜탱 역할을 수행한 셈이고, 조선의 수군, 근왕병, 의병이 서폿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유재란 즈음에는 숫적으로 명군이 주력이 되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군은 최대 17만, 명군은 약 5만이었지만 정유재란 당시에 조선군은 약 3만, 명군은 최대 11만에 달했다고 합니다. 남의 나라 전쟁에 명군이 그정도로 활약을 해준 것은 그래도 고마운 일이 였지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그 이유는 명나라 입장에서 자국이 공격당하는 것도 아니고 일개 조공국 하나가 공격당할 뿐이라고 생각해서 소극적으로 대처했던 것이며, 이들도 조선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보다는 자기 자신들의 안위가 더 중요했기 때문이라 추측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은 적극적으로 싸우기보다는 대국의 군사가 왔으니 이제 조선과 왜가 평화조약을 맺기를 원했습니다. 명군이 와서 전세가 기울어졌으나 명군은 적극적으로 싸우다 희생이 커질 것을 우려했습니다. 평양탈환 때 조멍연합국이 큰 전투를 승리한 후 명군은 잘 움직이지 않았던 이유가 그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만리황제 치하의 명나라는 도움 요청에 응하여 조선을 돕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의 이유는 주로 전략적이었습니다. 중국은 일본의 팽창주의로부터 국경을 보호하고 지역에서 영향력을 유지하기를 원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명나라 군대의 개입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었고 결국 몇 년간의 전투 끝에 철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는 일본과 군사적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 당시 명나라는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여 수많은 병력을 일본과의 국경선에 배치하였고, 이는 명나라의 중추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였습니다.

    따라서, 명나라는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자신들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이에 따라, 명나라는 조선을 직접적으로 도와주기보다는 조선군과 함께 일본에 맞서는 방식으로 대응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또한, 당시 명나라의 황제는 무리한 출병을 지양하고, 군사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따라서, 명나라가 조선을 도와주러 오지 않은 것은 이러한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나라는 일본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등 일본과의 전쟁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으며, 조선과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