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팥이들어간두유아이스크림2008
팥이들어간두유아이스크림2008

최근에 은행 이자가 다시 내렸다던데 왜 그런 걸까요?

작년에 이자율 높을 때 은행 적금을 들었어야했는데 시기를 놓쳤다는 블로그 글들을 많이 봤습니다. 아직 미국금리 인하도 안하지 않았나요? 왜 올랐던 은행 이자들이 유지도 아니고 벌써 다시 내려가고 있을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시중은행들의 금리는 은행들이 자율적으로 정하게 되어 있는데, 작년 12월 초를 고점으로 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중은행들의 금리가 하락하게 된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정부의 금리인하 압박으로서 정부는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라서 PF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증가하게 되자 은행들로 하여금 예금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내리도록 압박을 하였습니다. 이렇게 예금금리가 내려가게 되자 자연스럽게 부동산과 관련된 건설사나 증권사가 채권을 보다 저금리에 발행하면서 부동산과 관련된 대출금 차환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기조 완화로서, 올해 중순까지는 금리가 인상될 것이나 향후 금리는 점차적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면서 이에 따라서 시중은행들은 금리를 미리 인하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다만 위의 2가지 이유중에서 첫 번째의 사유가 시중은행들의 금리인하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지금의 금리는 하방경직 상태로 추가적인 금리인하는 힘든 상태이며, 앞으로 기준금리가 내려가게 된다면 예금이나 대출금리도 함께 내려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은행 시중금리의 인하는 아래와 같은 3가지 이유와 관련이 있습니다.

      ① 대출금리의 기준인 은행채 금리가 지난해부터 1년물을 중심으로 꾸준한 내림 추세입니다. '최종금리 3.5%'를 전망한 시장이 일찌감치 시장금리를 하향 조정했기 때문입니다.

      ② 당국 및 정치권의 압박이 지속되고 있어 은행에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장은 "은행들은 가산금리 조정에 재량이 있다"며 가계 및 기업의 부담을 살펴야 한다고 은행을 지속적으로 압박하고 있습니다.

      ③ 최근 은행들이 외부 등쌀에 못 이겨 하나둘 대출금리를 내리는 추세가 확산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파급효과가 제한적으로 작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