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개인 래버리지 투자는 어떤 위험성이 있을까요?

개인 래버리지 투자의 확산은 자본시장 안정성에 어떤 위협이 될까요? 금융당국이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위해 도입할 수 있는 대책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개인의 레버리지 투자는 어떤 위험성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 레버리지 투자는 수익 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줄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반대로도 손실 면에서도 빠르게 청산을 당할 위험이

    늘 존재하기에 이를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지렛대라는 뜻처럼, 빌린 돈을 활용하여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수익뿐만 아니라 손실도 같은 비율로 확대됩니다. 예를 들어, 2배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했을 때 주가가 10% 오르면 20%의 수익을 얻지만, 반대로 10% 떨어지면 20%의 손실을 입게 됩니다. 레버리지 투자 시, 손실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증권사나 거래소는 추가 증거금 납입을 요구합니다. 투자자가 이를 충당하지 못하면 담보로 잡힌 자산이 강제로 청산되어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 주가가 등락을 반복하는 변동성 장세에서는 복리 효과의 역작용으로 인해 레버리지 상품의 수익률이 기초 지수의 수익률보다 훨씬 나빠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개인투자자들과 같은 경우

    변동성과 자금의 제한적인 이유로 인하여

    위험성이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자신의 자본금에서 추가적인 신용으로 포지션을 늘리거나 변동성이 큰 자산의 투자를 한다는것입니다

    이는 그만큼 자산의 변동성을 키워 손실폭을 키울수가 있다는 말입니다 즉 리스크관리나 손절매가 명확하지 않다면 해당 매매는 당연히 위험이 담보가 됩니다

    정부는 신용대출비율을 직접적으로 한도나 비율을 못하도록 간접적으로 제재를 할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DSR비율을 스트레스 3단계DSR이 별도로 부과되어 주담대한도를 낮추는 이런 직접적 제재수단이 하나의 정공법인 정책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 레버리지 투자는 작은 시세 변동에도 실제 손실•이익이 배로 커지고, 하락장에선 원금 이상의 손실이나 강제 청산 위험이 존재합니다. 심리적 압박, 복리 효과로 장기 손실 심화, 변동성 확대 등으로 자칫하면 투자 원칙을 지키기 어렵고, 자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수익 확대 가능성은 있지만 반대로 손실도 배가 됩니다. 시장 급변 시 강제청산, 마진콜 등 손실 리스크가 크고 자산 손실 속도도 빠릅니다.

    소액 투자자일수록 변동성 방어가 어려워 시장 안정성에도 악영향이 우려됩니다.

    금융당국은 투자자보호를 위해 레버리지 한도 설정이나 사전 고지 의무 강화를 검토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자기 돈보다 더 큰 금액을 굴리는 거라 손실 났을 때 감당이 안 됩니다. 특히 요즘처럼 변동성 큰 장에서는 방향 잘못 잡으면 순식간에 원금 다 날릴 수 있습니다. 이런 개인 래버리지가 시장에 퍼지면 변동성이 증폭되는 구조가 됩니다. 시장이 한번 흔들리면 연쇄 반응처럼 무너질 수 있어서 자본시장 전체가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투자 한도 제한이나 투자자 적합성 심사 강화 같은 방식으로 진입 문턱을 높이는 조치를 고민할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투자의 위험성은 기초자산의 변동성에 따라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되는 구조에서 발생합니다. 기초자산이 횡보하거나 하락할 경우, 레버리지 ETF는 매일 기준가가 리셋되며 손실이 누적됩니다.

    금융당국에서 레버리지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라고 할만한 게 없는데, 자유경제시장에서 모든 투자는 본인이 책임지는 게 맞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