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용감한재규어186
용감한재규어18622.11.05

이번 금리인상의 최고점은 얼마나될까요?

이것저것 투자하고싶은것도있고 아파트 분양도 받고싶지만 대출금리가 너무비싸 엄두도 못내고있습니다 나중도면 주택담보대출금리가 얼마나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번 금리인상은 미국이 4.75%까지 올린다면 한국은행이 3.5%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입니다. 당분간은 대출금리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주담대의 경우 기준금리 + 2~4%의 이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최종금리 목표가 5%내외이고, 한국은행도 유사한 수준까지 금리를 올린다고 가정하였을 때 약 7~9%정도가 최종금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인플레이션 율 등 여러가지 요소로 인하여 변동될 수 있는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의 금리 인상은 내년 중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기준금리의 정점은 4.5%~5%의 수준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져 최고금리 수준이 5.25%~5.75%수준으로 될 것을 감안한 금리수준입니다.

    만약 투자를 생각하고 계신다면 금리가 인하되는 시점이 경기를 활성화하는 시점으로 생각하시면 되고 보통 이때부터 증시가 완만한 반등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금처럼 금리가 계속 상승하는 것이 예상되는 시점에는 적금으로 목돈을 마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향후에 기회가 왔을 때 투자할 목돈을 마련하셔서 기회를 잡으시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내년 중반기준으로 시중은행 상단금리는 11%초반정도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기에 주택 구입도 절대 지금은 하시지 않을 것을 추천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언제까지 어디까지 올라갈지는 아무도 알수 없고, 금융당국에서도 그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정책결정을 할 것입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경우 4%대 금리까지는 가지 않겠냐고 예상하는 단계인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경우 5%의 기준금리도 갈수 있다는 예상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먼저, 우리나라와 미국의 현재 기준 금리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기준금리 3%이며, 미국의 기준금리는 4%입니다.
    11월24일에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 정도 한 차례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이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어서 우리나라도 기준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많은 금융기관에서 내년 미국 기준 금리를 4.75~5%정도 예상하고 있고
    미국 금리 정책에 맞춰 우리나라도 금리 정책을 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내년에도 금리를 인상 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내년 4% 이상 보고 있습니다.
    주택 담보 대출 금리가 정확히 몇 프로 될지는 알 수는 없으나, 기준 금리에
    가산금리까지 더하면 5%는 넘을 것으로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