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어린노루243
어린노루24324.02.04

태양광전지 발전 원리가 궁금합니다

태양광전지를 주위에서 많이 보게되는데 전기가 생성되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어떤소재가 어떤역할을 통해 빛이 전기형태로 변하게 되는지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전지는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태양광전지는 일반적으로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광전효과란 빛이 일정한 물질에 충돌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태양광전지는 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며 실리콘은 전기를 잘 전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광전지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반도체 칩 위에 얇은 금속 층을 덧붙여 만들어집니다. 이 금속 층은 전기를 잘 전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빛이 전기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태양광전지는 태양에서 나오는 빛을 받아들이는 부분과 전기를 생산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은 태양광전지의 표면에 닿으면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부분으로 전달됩니다. 이때 빛이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는 이유는 실리콘과 금속 층 사이의 전기장이 빛을 흡수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태양광전지의 표면에 닿은 빛은 실리콘과 금속 층 사이를 통과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빛의 에너지는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전기가 생산됩니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전선을 통해 우리가 사용하는 가전제품 등에 전달되어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 전지는 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집니다. 빛이 실리콘에 닿으면 전자와 정공이라는 전하쌍이 생성됩니다. N형 반도체는 전자를 끌어당기고, P형 반도체는 전자를 밀어내기 때문에, 생성된 전자는 N형, 정공은 P형으로 이동하여 전기장을 형성합니다. 외부 회로를 연결하면 전자가 P형으로 이동하며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 과정을 광전 효과라고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