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맞불작전으로 불을 끄는 원리가 궁금해요

가끔 산에서 불이 날 경우에..

맞불작전으로 불을 끈다고 하던데..

그 어떻게 끄는거예요? 어떻게 해서 꺼지는거죠?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신광현 전문가
    신광현 전문가
    육군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발화점 이상의 온도 , 산소 , 연료. 이 세가지 조건 중 하나만 빠져도 불이 나지 않습니다. 즉 맞불 작전은 이 3요소 중 연료를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불이 더 번질만한 장소에 미리 불을 질러 더 이상 연료를 제공하지 않아서 알아서 꺼지게 맞는 작전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은 화재난 곳의 불과 맞불작전한 불이 서로 붙어야 합니다. 불이 나면 상승기류가 생겨 공기가 화재가 난쪽으로 불기때문에 맞불작전을 시행하면 맞불작전에 이용한 불은 공기를 따라 화재방향 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만약 어떤 다른 돌발상황이 발생해서 맞불작전했던 불이 화재방향으로 안간다면 최악의 방향으로 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을 끄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발화점보다 온도를 낮추는 방법, 산소를 차단하는 법, 타는 물질을 없애는 법입니다. 산불을 끌 때 맞불 진화는 불이 번져나가는 방향의 더 앞쪽에서 불을 일부러 지펴 타는 물질을 없애버리는 방법입니다. 물론 맞불을 지필때는 맞불로 인해 추가 산불이 번지지 않도로 다 조치를 취한 후에 진행합니다.

  • 불이 연소되기 위한 조건은 산소, 열, 그리고 태워야할 물질인 가연물이 필요합니다.

    맞불의 경우는 불이 진행되고 있는 반대방향으로 모든 가연물질을 미리 태워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게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은 탈 수 있는 물질과 발화점이상의 온도 그리고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 3가지 중 한가지만 제거해주면 불을 끌 수 있는데요 맞불작전은 이 중 탈 수 있는 물질을 미리 제거하는 작전입니다.

    불의 예상 진행방향에 진화가 가능한 불을 질러 미리 탈 수 있는 물질을 태워버리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