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산불이 났을때 또 불(맞불)을 놓는다고 하는데 이유가 뭔가요?

어디선가 큰 산불이 났을때 맞불을 놓아 화재를 진압한다는 이야기를 들은것 같은데

불이 났는데 이불을 다시 불로 제압한다고 하니 이상합니다.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맞불이란 산불같이 대형 화재가 발생했을시에

    주로 화재의 진행을 막으려고 하는 소화방법입니다

    맞불을 놓아 미리 태워버리게 되면 연소의 재료가 될 수 있는 유기물이 제거되므로

    불이 더이상 번질 수 없게되는 원리입니다

  • 냉엄한고라니20
    냉엄한고라니20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맞불은 불의 진행 방향에 앞서서 먼저 불을 피워 탈것을 없애서 진행되던 불이 더 이상 탈것이 없어 번질 수 없게 하는 방식으로 불길을 잡는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지역에서 탈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여 이미 난 산불이 더 번지지 못하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미 난 산불의 지역을 제한한 채로 상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불이 번지기 전에 불의 진행 방향에 미리 불을 피워 연소할 물질을 제거하여

    불이 더 번지지 못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맞불을 붙일 때는 불이 크게 번지지 않게 조절하여 연소물질을 다 태워놓아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재의 3대요소는 산소 온도 가연물 입니다. 맞불을 놓는다는 의미는 이 가연물을 통제할수 있는 불로 미리 제거해둔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불이 더이상 번져나가지 않겠죠?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산불 앞쪽에 의도적으로 놓은 불. 산불이 타 나오는 앞쪽에 불을 놓아 마주 타들어가게 함으로써 불이 서로 맞닿아 더 이상 타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놓는 불을 말한다

    불이 난 곳은 열기 때문에 주위의 공기가 데워집니다.
    잘 아시다시피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내려 오지요.
    이게 대류현상인데요.
    불이 난 장소의 주변의 공기는 뜨거워져 위로 올라가면서 상승기류가 생깁니다.
    그러면 기압차가 생겨서 불난 주변은 다른곳에 비해 순간적으로 기압이 떨어집니다.
    그러면 주변의 공기가 기압이 떨어진 불난 주변으로 몰려오게 됩니다.

    이게 바로 맞불을 놓았을때 맞불이 진화에 도움이 되는 원인입니다.
    만약에 맞불을 놓았는데 맞불이 불이 난 쪽으로 진행하지 않는다면 아무 효과도 없을 뿐더러 오히려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맞불을 놓는다는건 보통 최초 발생한 불길이 동에서 서로 전진하고 있다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서쪽에서 전진하는 불길을 마주보고 맞불을 놓으면 이 맞불은 서에서 동으로 번져 갑니다.
    그래서 두 불길이 마주치게 되고 서로 태우면서 온터라 태울 물질이 없으니 자연히 불길은 사그러 듭니다.

  • 불이 연소되기 위한 조건은 산소, 열, 그리고 태워야할 물질인 가연물이 필요합니다.

    맞불의 경우는 불이 진행되고 있는 반대방향으로 모든 가연물질을 미리 태워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맞불을 놓는것은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맞불로 미리 번질만한곳을 태우는 것 입니다

    그렇게 하면 산 전체가 탈 것을 일부만 타고 나머지는 살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큰 산불이 났을 경우, 바람에 의해 불이 전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전파될 지역에 불을 질러 다 태워버리고 그 불을 끄면 전파가 안되기 때문에

    이런 방법도 쓰네요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연소의 3요소가 산소, 탈물질, 발화점이상의 온도인데..물을 붓는것은 발화점이하의 온도로 낮추는것이고, 모래나, 천으로 덮는것은 산소차단입니다. 그리고 질문하신 맞불은 탈물질을 미리 제거 시켜 더이상 불길이 진행하는것을

    막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