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반딧불이
반딧불이22.07.24

임대소득세는 계산방식이 따로 있나요?

임대를 하게되면 임대소득세를 띄게 되는데, 기준과 금액이 명시되어 있나요? 예를들어 100만원?과 120만원?은 기준금액대가 달라서 세금이 천지차이라고 하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1. 과세대상 : 세금 부과 대상인지부터 확인

    - 1주택 : 국내 소재 기준시가 9억원 초과 주택으로 월세 수입이 있는 경우 (조건부 월세 과세)

    - 2주택 : 월세 수입이 있는 경우 (월세 과세)

    - 3주택 월세 수입이 있는 경우 또는 보증금 합계가 3억원을 넘는 경우 (전세, 월세 모두 과세)

    2. 과세율

    - 주택임대 수입금액이 2천만원 미만 : 분리과세 (14%) 또는 종합과세 (6~45%) 중 선택

    - 주택임대 수입금액이 2천만원 이상 : 종합과세 처리 (6~45%)

    ※ 분리과세의 경우 등록임대주택과 미등록임대주택으로 나뉘며 필요경비, 기본공제, 세액감면금액등이 달라 산출세액의 차이 발생할 수 있음

    즉, 같은 100만원 또는 120만원의 수입금액이라도 본인의 과세대상 현황 주택과 종합소득과 감면여부에 따라 임대소득세가 달라지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쉽게 말해 금액으로 세금의 많고 적음을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좀 어렵죠? 저도 세법은 참 어렵습니다. 하지만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공부해나가면 어느 순간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할것입니다.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