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눈으로 못보는게 맞나요?
미세먼지는 너무 작아서 눈으로 관찰 수 없다고 하는데 실제로 미세먼지가 많은날은 시야가 뿌옇거나 안개가 낀것처럼 보이는데 왜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의 경우 크기가 작지만 이러한 미세먼지 농도가 짙은 날에는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구름이나 안개처럼 뿌옇게 보일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는 크기가 작아 눈으로 보긴 어렵지만, 미세먼지도 크기가 있는 입자이기 때문에 빛을 반사시키거나 산란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세먼지를 통과한 햇빛이 산란되어 우리눈에 들어와 뿌옇게 보이는 것이지요.
아래는 미세먼지 크기입미다.
황사의 경우 1~1000㎛크기를 갖는 경우 황사로 분류합니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의 경우 10㎛ 이하의 크기를 갖는 먼지입니다. (=PM10)
초미세먼지의 경우 2.5㎛ 이하의 크기를 갖는 먼지입니다. (=PM2.5)
말씀하신 내용은 미세먼지가 아니라 스모그입니다.
안개와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연기가 결합하여 뿌옇게 보입니다.
연기에 미세먼지가 포함되어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