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10.29

과일중에서 익기전에는 독이 있다가 익은후에는 독이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과일중에서 익기전에는 독이 있는 과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익은 후에는 독이 사라지는 과일이 더러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같은 일이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화를 돕는 유기산과 해독작용이 뛰어나 식중독과 배탈을 예방하는데 제격인 매실. 그러나 덜 익은 상태로 섭취하게 되면 ‘독’이 됩니다.

    풍부한 항산화 물질로 뇌졸중과 심장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토마토. 토마토 역시 덜 익은 것을 먹었을 경우 ‘솔라닌’에 중독될 수 있습니다.

    덜 익은 감과 바나나에는 ‘타닌’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타닌 성분은 대변의 수분을 빨아들여 변을 딱딱하게 하고 장을 수축시켜, 과다 섭취 시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철분과 결합해 몸 밖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빈혈 환자의 경우 덜 익은 바나나와 감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덜 익은 살구도 매실처럼 ‘아미그달린’이라는 독성이 있어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초서’에 의하면 살구에 포함된 아미그달린은 많이 먹으면 정신이 흐릿해지고 근육과 뼈를 상하게 한다고 전합니다. 이 아미그달린은 생 것, 말린 것 모두에 약성이 남아있으므로 나무에 노랗게 익은 것만 섭취하도록 합니다.

    이런 과일들은 숙성이 되면서 독성이 사라지고 단맛을 내기 때문에 꼭 익은 과일을 섭취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확한 이유는 알기 어렵지만, 진화적으로 봤을때 충분히 익은 후에 동물이 열매를 먹고 자신의 씨를 멀리 퍼트려주기를 바랄텐데,, 너무 익기전에 먹어버리지 않도록 먹으면 불편감을 줄 수 있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또는 충분히 성숙되어 먹기 좋게 만들어지기 전에는 요리가 덜된 상태처럼 덜 완성된 상태라서 동물들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상태라고 볼 수 도 있을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