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잉여금의 정의는 무엇이고 예시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회계에서 자산, 부채, 자본으로 분류가 되는데요. 자본 항목에 자본잉여금이란 것이 있던데 이게 무엇을 뜻하는지와 어떤 것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잉여금은 자본거래의 결과로 인해 발생한 여분의 자금(잉여금)을 자본잉여금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잉여금은 자본거래로 인해서 발생한 것으로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처분이익 등으로 나뉘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잉여금은 영어로 addtional paid-in capital이라고 합니다. 가령, 주식 회사가 주식을 발행할 경우 아래 상황에서 자본잉여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액면가 5,000원 주식을 10주 발행
2) 발행가는 주당 8,000원일 경우
현금 80,000원 / 보통주 자본금 50,000원
자본잉여금 30,000
즉, 주식 발행 금액 중 액면가를 초과하여 발행하여 투자가들로부터 받은 금액이 자본잉여금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잉여금이란 주식발행을 통한 증자 또는 감자 등의 주주와의 거래(자본거래)에서 발행하여 자본을 증가시키는 잉여금을 말합니다. 배당의 재원이 될 수 없으며 자본전입 및 결손금의 보전 이외의 목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자본잉여금은 주식회사가 증자, 감자 등의 자본거래를 통하여 얻은 금액 또는 기타 영업 외 활동으로 벌어들인 자산증가분을 말합니다. 이는 자본 유지 목적을 위해 회사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주주들의 자본을 보호하고 기업의 재무구조를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 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자본입니다. 자본잉여금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잉여금은 주식회사가 증자나 감자 등의 거래를 해 얻은 금액 또는 기타 영업 외 활동으로 벌어들인 자산 증가분을 말하는데 주식을 액면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발행했을때 발생하는 차액이나 회사 자본금을 감소시킬때 발생하는 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잉여금은 자본거래로 인해 발생한 잉여금으로,
주식발행초과금과 감자차익, 자기주식처분이익 등의 기타자본잉여금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본잉여금의 정의에 대하 내용입니다.
자본잉여금이란 자본거래로 발생한 잉여금을
자본잉여금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