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외로운침팬지184
외로운침팬지184

앞으로미래는 우주전쟁이라고하는데 우리나라수준이 궁금해요

펑소궁금했던건데 우리나라는 우주전쟁이라고 하던데 우리나라의 우주과학기술수준이 궁금합니다. 아시는분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이미 여러 개의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고 있으며, 우주로켓 기술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은 우주 탐사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우주 탐사 장비 및 기술의 수준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한국은 2022년 6월 누리호 2호 발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누리호는 1.5톤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한국 최초의 국산 우주발사체입니다.

      미국의 팰컨 9이나 유럽의 아리안 5와 같은 주요

      우주 선진국의 발사체에 비하면 성능이 부족합니다.

      누리호는 아직 개발 단계이며 상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발사 시험이 필요합니다.

      한국은 1992년 우리별 1호 발사 이후 다양한 위성을 개발하고 발사해 왔습니다.

      현재 한국은 천리안 기상위성 아리랑 통신위성 등 30여개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위성은 해외 기술을 도입하여 개발한 것으로 핵심 기술은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한국은 2022년 달 탐사선 다누리를 발사했습니다.

      다누리는 한국 최초의 달 탐사선이며 2023년 말 달

      주변 궤도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다누리는 달 표면의 지형과 광물 분포를 조사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다른 나라에 비하면 우주 탐사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한국은 우주과학기술 분야의 전문 인력이 부족합니다. 한국과

      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우주과학기술 분야 종사자는 약 4000명입니다.

      이는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10분의 1 수준입니다.

      한국은 우주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 규모가 부족합니다.

      2020년 기준 한국 정부의 우주개발 예산은 약 6158억원입니다.

      이는 미국의 35.6% 러시아의 11.5% 일본의 8.7%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한국은 최근 우주과학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

      지만 아직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발사체 위성 탐사 기술

      전문 인력 투자 규모 등 모든 분야에서 개선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우주과학기술 수준은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우리나라의 우주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몇 가지 평가 결과입니다.

      기술 수준: 우리나라는 기술 수준에서 미국 대비 81.5%로 평가되며, 미국과의 기술 격차는 3.2년입니다. 중국과의 기술 격차는 6년으로, 중국이 우리나라를 추월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미래 전략: 정부는 2030년까지 우주 무인수송 능력을 갖추고, 2045년까지 유인수송 능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주산업의 세계시장 비중을 2020년 1%에서 10%로 끌어올리기 위해 우주개발 투자 예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우주개발 분야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미래에 더 많은 발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전쟁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우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군사적 충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우주전쟁이 발생한 적은 없으며 미래에도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우주과학기술 수준을 이야기할 때에는 우주전쟁이라는 용어보다는 우주 탐사 및 개발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우주 탐사 및 개발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이뤄왔습니다. 예를 들어 2013년에는 우리나라 첫 번째 인공위성인 '천리안 3호'를 발사하여 성공적으로 우주로 보냈습니다. 그리고 2018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인 '창의 1호'를 발사하여 달의 표면을 조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우주 탐사 분야에서도 선진국들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우주 기술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인 '한국형 로켓'을 개발하여 성공적으로 우주로 발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우주 로봇 기술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 탐사 및 개발 분야에서의 우리나라의 역할을 크게 확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우주 탐사 및 개발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