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근사한매사촌188
근사한매사촌18822.01.18

협심증 왜 발생? 예방 또는 완화 방법

나이
성별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나이가 들면 심장 질환이 많이 발생하곤 하는데 그 중에서도 협심증은 왜 발생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협심증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방법으로는 어떠한 방법이 있을까요?

식습관 또는 운동같은 여러가지 방법들을 알려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20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협심증은 대부분 심장으로 가는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의 허혈성 손상이 동반되어 생기는 증상입니다.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와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줄이는 것 그리고 유산소와 근육운동 모두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협심증의 원인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 동맥이 동맥 경화증으로 좁아져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관상 동맥 내부의 동맥 경화성 변화는 사실상 20대 초반부터 진행되며, 혈관 면적의 70% 이상이 좁아지면 협심증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질환으로, 혈관에 혈전이 쌓이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와 같은 질환일 때 합병증으로 주로 발생을 하기 때문에 기저질환을 철저하게 관리하시는 것이 협심증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꾸준한 유산소운동, 기름지거나 고칼로리 음식 줄이기, 적절한 체중조절 등을 통해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협심증은 심장 혈관이 좁아져서 생기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 수록 점점 혈관이 좁아지는 경우가 많아지는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등의 만성 질환이 자주 오고 노화 자체로도 혈관에 석회화 등이 잘 생기기 때문이지요. 예방을 위해서는 식사 조절, 유산소 운동, 금연, 체중 관리가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만성 질환이 있다면 약물 치료도 병행해야 하구요.


  • 협심증은 고지혈증, 고혈합, 당뇨 등의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인한 죽상동맥경화증이 발생하면 혈관의 내경이 좁아지며 심장 근육으로의 혈류가 저하되어 나타나는 허혈에 의해 발생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상투적인 이야기이지만 건강한 식단, 규칙적 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