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는 어떤 질병이고 증상은 무엇인가요?
부산에서 백일해 환자가 발생하고 사흘 만에 환자가 19명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러한 백일해는 어떤 질병이고 증상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백일해는 백일해 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 기침 및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백일해는 6~8주에 걸쳐 3단계로 구분되는데 초기는 가장 전염력이 강한 시기로 1~2주 정도 계속되며 콧물, 결막염, 눈물, 경미한 기침, 발열 등의 가벼운 상기도 감염 증상이 나타나다가 기침이 점차 심해지면서 기침 끝에 '흡'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기침이 심할 때 얼굴이 빨개지고 눈이 충혈되며, 기침 끝에 구토가 동반되거나 끈끈한 가래가 나오기도 합니다.
중기는 2~4주 정도 혹은 그 이상 계속되며 무호흡, 청색증, 비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마지막 회복기에 이르면, 기침의 정도, 횟수, 구토가 점차 감소하며 이는 1~2주 정도 계속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백일해는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콧물, 재채기, 미열 등 감기와 비슷한 초기 증상
발작적이고 심한 기침(기침 후 숨 쉴 때 "휘유" 하는 소리가 특징)
기침 후 구토
숨 쉬기 곤란, 청색증 등(영유아에게서 잘 나타남)
백일해는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쉽게 전파되며, 특히 영유아에게 감염될 경우 합병증 위험이 높습니다. 성인은 잦은 기침 정도로 끝날 수 있지만 영유아는 폐렴, 경련, 뇌병변 등으로 진행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접종이 백일해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므로 영유아 표준 예방접종을 꼭 완료하시고, 성인도 주기적으로 백일해 예방접종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집단 발병 시에는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세요.
백일해는 백일해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게 되는 호흡기계 감염 질환입니다. 해당 균은 인간만이 유일한 숙주이기 때문에 인간에서 인간으로 옮으며 직접적인 접촉이나 비말 접촉을 통하여 전염됩니다. 백일해는 소아에서 필수 예방 접종을 하는 질환입니다. 평균 약 3-12일 사시의 잠복기를 가지며 증상 발생 시 1-2주 가량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가 오는데 이 때에는 눈물, 콧물, 기침, 발열 등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 시작 후 약 2주 가량이 지날 쯤에 마치 '흡' 하는 것과 같은 소리를 내는 기침(whooping cough) 증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 증상이 백일해의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해당 증상은 2-4주 가량 지속됩니다. 이후에는 회복기에 접어들며 서서히 회복이 됩니다. 증상이 오래 지속될 수 있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서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회복할 수 있습니다. 감염 시에는 약 5일 간 격리를 하고 항생제 투약을 통해서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주로 여름과 가을에 발병하는데, 가족 내에서 2차 발병률이 높고, 특히 1세 미만의 어린이들의 사망률이 높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예방접종 덕분에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백일해는 주로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이나 호흡기 전파를 통해 전파됩니다. 특히, 백일해에 감염되었지만 특징적인 증상이 없는 어른들이 어린이에게 주요한 감염원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은 잠복기에서부터 나타나며, 기침의 심각성과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백일해는 특징적인 기침 양상, 직접 접촉 병력, 혈액 및 방사선 검사 등을 통해 진단됩니다. 치료에는 항생제를 사용하며, 특히 3개월 미만의 영아나 심폐 질환 및 신경 질환을 가진 소아의 경우에는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백일해의 합병증은 나이가 어릴수록 더 많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적절한 예방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백일해 환자는 치료를 받은 후 5일 동안 격리되어야 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3주 동안 격리되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