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유령령
유령령

대공황과 IMF 차이가 무엇인가요?

학교에서 역사수업을 듣다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대공황은 무엇이고

IMF는 무엇이고

그래서 그 둘의 차이점이 뭔 지 알려주세요 !!!!!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대공황의 발생 과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 IMF의 발생이유에 대해서도 설명드리도록 할게요

      대공황의 발생원인은 여러가지로 이야기되지만 제가 설명드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9세기 말 무분별한 공장의 건설 및 생산량 증가

      • 공급의 과잉을 메꾸기 위한 새로운 수요처 발굴 (전쟁을 통한 식민지개척)

      • 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계속적인 투자수요가 발생하여 계속적인 성장을 하게된다(미국)

      • 하지만 미국 부의 60%를 인구의 1%가 소유하는 불균형의 성장

      • 소비층의 부재로 인한 경기침체 발생

        (게다가 위의 전쟁상황 및 투자증가로 거의 대부분이 주식에 수요가 몰려 주식가격이 크게 성장한 상태)

      • 전쟁을 통한 수요처 확대의 한계점 도달

      • 대규모 경기침체로 인한 미국의 경기침체 발생

      • 미국에 투자된 자본의 대규모 이탈(자본회수)

      • 1929년도 외국인 자본의 대량주식매도 사태 발생

      • 미 자본가들의 세계 각국에 투자된 자본의 회수 시작

      • 각국에 투자된 자본회수로 인하여 세계 각국도 화폐량 감소로 경기침체 시작

      • 1930년도까지 대공황 지속

      그리고 IMF가 발생한 원인과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국은 저렴한 인건비와 지하자원을 토대로 저가공산품들을 생산하여 세계에 공급

      • 중국의 저가공산품에 의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비롯한 한국의 수출품들이 가격경쟁력을 상실

      • 가격경쟁력 상실로 인한 수출 실적의 급감

      • 대한민국 정부는 원화절상(달러대비 원화의 강세) 정책을 펼쳐 오히려 가격경쟁력을 크게 악화시켜버림

      • 무역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확대되기 시작

      • 대외에 지급해야 할 달러보유고가 바닥이 나서 IMF에 구제금융 즉 달러를 빌려오게 됨

      대공황의 경우는 미국에 의해서 시작된 전 세계의 위기였던 반면에 우리가 기억하는 IMF사태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국한된 외환위기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대공황 시기는 전 세계가 경기침체에 빠지며 증시의 경우는 90%이상 폭락한 주식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나 외환위기는 한 지역에 국한된 위기로 동남아시아 지역 외에 다른 국가들에는 전혀 위기감이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대공황은 2차세계 대전이후 엄청난 호황을 맞이한 미국 경제가 수십년간 지속 될줄 알아서 모든 기업들이 엄청나게 공급을 늘렸으나 수요가 이에 미치지 못해서 결국 투자 과잉이 따른 기업 수익 악화 지속되어 부도도 많이 나고 이에 실업율이 역대급 급증하게 됩니다. 경제도 실제로 침체 수준으로 진입하게 되어 뉴딜 정책이 있기전까진 고통이 엄청 났죠. IMF는 외환 보유고 부족으로 국가 부채 수준이 더이상 감당하지 못할경우 발생되는 겁니다. 금융 시스템 의 붕괴로 더이상 국가 뱅킹의 역활을 못하는 겁니다.

      해결책 자체도 다릅니다. 대공황의 해결책은 국가 주도의 엄청난 SOC 공사로 해결을 했고, IMF는 기업 전체 구조조정으로 해결했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공황이란 1929년 ~ 1930년대를 강타한 전 세계 규모의 경제 침체 현상을 말합니다. 금융 시장의 대혼란과 대규모 실직 사태가 일어나 당시 서구 자본주의 사회 체계를 뒤흔들어버린 역사적 사건입니다.

      IMF란 통상적으로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은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이 IMF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사건입니다. 기업이 연쇄적으로 도산하면서 외환보유액이 급감했고 IMF에 20억 달러 긴급 융자를 요청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