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이 어떤 정책이었는지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박정희 전 대통령때 새마을 운동 정책을 실시 하였고, 이때 우리나라가 많이 발전했던걸로 알고있습니다. 새마을 운동은 왜 시작하게 되었는지, 새마을 운동으로 인해 우리나라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새마을운동이 무엇인지가 궁금하군요.
근면·자조·협동 정신과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를 바탕으로 빈곤퇴치와 지역사회개발을 위하여 1970년부터 전개된 운동입니다.
가난에서 벗어나 잘 살아보자는 운동으로, 농촌경제 발전과 농가소득 향상을 목표로 시작되었다. 공업 중심의 경제개발로 농업의 중요도가 낮아져 도시와 농촌간 소득격차가 많이 벌어지자 농촌문제가 사회문제가 되었고, 집권당의 전통적 정치기반을 흔들 수 있는 정치적 불안요소도 되었는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추진한 것이 농촌의 새마을운동이다. 1969년의 3선개헌, 1971년의 대통령선거와 비상사태선포, 그리고 1972년의 유신헌법 통과와 같은 권위주의 정권의 형성과정에서 진행되었으며 새마을운동의 본격적 전개가 유신체제와 더불어 진행되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새마을운동 [―運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새마을 운동은 우리 현대사에 조국 근대화의 발판으로 197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며, 이 근대화는 세계사의 큰 흐름이었기에 우리나라에서도 강력한 사회적 욕구로 분출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새마을 운동이 우리 스스로 힘으로 가난을 몰아내고 잘 사는 마을, 잘 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범 국민 운동으로 정착되면서 조상 대대로 물려 내려온 가난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이 다 함께 경제적인 풍요 속에서 여유롭고 안정된 삶과 문화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지요. 나 혼자만이 잘사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 다 함께 잘 사는 나라, 오늘의 우리 세대 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태어날 우리 후손들에게 까지 부강한 나라를 물려 줄 수 있는 토대가 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