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레놀과 게보린은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편두통이 심해져서 두통약을 자주 복욕하고 있습니다. 그냥 약국에서 주는대로 두통약을 사먹다가 문뜩 궁금해져서 잘문 드립니다. 타이레놀이나 게보린 등 두통약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타이레놀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만 들어있는 반면 게보린에는 아세트아미노펜(300mg), 이소프로필안티피린(150mg), 무수카페인(50mg)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론상 게보린이 더 효과가 좋을 수 있으나 이것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게보린 안에는 타이레놀 성분에 카페인, 이소프로필안티피린이라는 소염진통제가 섞여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게보린에는 타이레놀 성분에 소염진통제가 들어있습니다.
조금 더 강한 진통제이나 부작용위험도 더 큽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성분이 약간 다릅니다. 게보린에는 카페인도 좀 들어있고요. 물론 아세트아미노펜도 들어있긴합니다.
보통 두통에는 긴장성 두통이 많아서 근육이완제를 비롯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에 마그네슘을 1차적으로 더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
타이레놀 500mg은 해열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 500mg 단일 성분이며, 게보린은 타이레놀과 동일한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300mg 포함되어 있으며 카페인 50mg과 이소프로필안티피린이 150mg 추가적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게보린에 추가적으로 들어가있는 이소프로필안티피린은 피린계 소염진통제(NSAID 계열)로 아세트아미노펜처럼 통증을 잡아주는 것과 동시에 염증까지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카페인은 아세트아미노펜과 이소프로필안티피린의 진통효과를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만, 게보린에 포함된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성분은 피린계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와
호흡곤란, 혈관부종, 어지러움 등과 같은 일부 부작용으로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며, 다른 NSAID 계열의 소염진통제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광고로 유명하긴 하지만 보통 두통약으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과 같은 다른 약을 드시는 것을 권장하는 편입니다.
정리하자면 타이레놀은 해열진통제 단일 성분이며, 게보린은 타이레놀 성분 + 소염진통제/카페인 성분이 추가적으로 들어간 복합제입니다. 다만, 게보린에 포함된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성분이 안전성 논란이 있었으며 두통이 있을 때 대체할만한 다른 소염진통제인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같은 약을 복용해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타이레놀은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게보린은 아세트아미노펜 300mg
무수카페인 50mg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mg 들어있어 달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