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우럭아왜울억?
우럭아왜울억?

이번 정부에서 다시 친환경 에너지에대한 언급

전라도 지역에 친환경에너지 사업을 추진할것으로 보이는데요 값싸고 꾸준히 생산할수있는 원자력에 투자를 늦추며 친환경으로 돌아설것으로 보이는데 전전정권의 태양광정책이 개인적으로는 실패했다 생각합니다...친환경 정책을하던 유럽 국가들도 다시 원전생태계를 복원하고 있는와중 왜 대한민국만이 친환경을 내세우는지 이해가안가네요 전문가님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현재 정부는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탄소중립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재생에너지 잠재력과 산업 육성 기회를 고려한 정책 방향입니다. 물론, 값싸고 안정적인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유럽 일부 국가들이 원전 복원을 모색하는 것처럼, 에너지 안보와 탄소 감축을 위해 원자력은 여전히 중요한 선택지입니다. 이전 태양광 정책의 한계에 대한 우려도 이해합니다. 태양광의 간헐성 문제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확대, 인공지능(AI) 기반 전력망 관리, 그리고 풍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원 개발로 보완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의 에너지 정책은 기후 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그리고 경제 성장이라는 복합적인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와 원자력 발전의 균형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만 친환경을 내세우는 것은 아닙니다.

    유럽과 미국 및 일본등 선진국들도 탄소 중립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원전 비율을 높이는 추세이지만 동시에 풍력과 태양광 비중 또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느릴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정부는 기존 원전을 가지고 운영하며 친환경 에너지원을 확대로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 및 미래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 사용은 필수적 이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안보와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원전 생태계 복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반면 대한민국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친환경 정책을 강조하며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민 안전 우려와

    원전 사고에 대한 사회적 반응이 크게 작용한 결과입니다. 또한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통한 미래 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국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차별화된 친환경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