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아동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한계는 어디까지인가요?

아동복지시설에서 사회복지사는 때로는 부모 역할까지 기대받거나, 시설 외부의 문제까지 개입해달라는 요청을 받을 때가 있어 업무 범위에 대한 고민이 생깁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어디까지가 적절하며, 법적·윤리적으로 개입의 한계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아동복지 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아동의 상담.지도.치료.양육과 생활지도, 프로그램 개발.운영, 사례관리, 지역사회 연계, 아동권리 옹오 등을

    수행 해야 합니다.

    부모의 역할에 도움 지원 방식은

    정서적.심리적 지원, 학습 및 생활지도 지원 등이 있지만

    완전한 부모 대체는 불가 한 것이 사회복지사는 부모의 역할을 일부 보완 하지만

    법적.윤리적 책임은 부모에게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동열 사회복지사입니다.

    보통은 부모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법적으로 정해진 범위까지 입니다.

    그 이상 진행 시 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취지는 좋더라도 법적 문제는 피해갈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엄자영 사회복지사입니다.

    질문해주신 아동복지시설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아동복지시설에서는 사회복지사는 여러 도움을 주는 위치이지만

    그렇다고 부모의 역할을 해주기 어려운 것이

    한계점으로 보여집니다.

  • 사회복지사는 아동복지시설에서 보호자의 역할을 일부 수행할 수 있지만, 법적·윤리적 기준에 따라 개입 범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아동복지시설에서 보호자의 역할을 일부 수행할 수 있지만, 법적·윤리적 기준에 따라 개입 범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과 한계를 인식하고, 법적 책임과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며 개입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효정 사회복지사입니다.

    그런 상황이라면 정말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아동복지시설에서 일하다 보면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많이 의지하고, 때로는 “선생님이 부모님처럼 돼주세요”라는 말을 하기도 하잖아요. 마음이 흔들릴 수 있지만, 사회복지사는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는 사람이 아니라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전문인이라는 점을 잊지 않으셔야 해요.

    아이를 진심으로 아끼고 따뜻하게 돌보는 건 너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부모의 자리를 완전히 대신하려 하면 아이가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거나, 복지사님이 객관적인 시각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복지사님은 아이에게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되, 전문가로서의 경계를 지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아이를 진심으로 사랑하되, 전문가로서의 선을 지키는 것!

    이게 사회복지사에게 가장 중요한 균형입니다. 복지사님이 그렇게 아이들을 따뜻하고도 전문적으로 대하신다면, 아이들에게는 정말 큰 힘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