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박식한황로156
박식한황로15623.01.30

약과,유과,한과는 다른뜻인가요?

전통 과자인 약과.유과.한과 가 있는데 약과는 알겠는데 유과나 한과는 서로 다른뜻인지 아님 같은과자를 부르는 명칭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통과자를 한과라 부르며,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유과, 약과, 정과, 다식, 숙실과로 구분합니다.

    ‘ 유과 ’는 찹쌀가루에 콩물과 술을 넣어 반죽하여 삶아낸 것을 얇게 밀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겨내어 쌀 고물을 묻힌 우리 과자의 대표종이다. 여름철에는 덥고 습기가 많아서 엿이 늘어져 만들기가 어려워, 겨울철 특히 설을 앞두고 많이 만들었다. 유과는 크기나 제조방법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데 큰 것은 산자, 손가락 굵기는 강정, 팥알 만하게 썰어 말려 튀긴 후에 엿으로 뭉쳐 모나게 썬 것을 빙사과(賓砂果, 氷砂果)라고 한다.

    ‘ 약과 ’는 밀가루에 참기름과 꿀을 넣어 만드는 유밀과의 일종으로, 제사 지내는 데에 빠지지 않는 음식이다. 20세기 초 최남선은 조선이 만든 과자 가운데 약과가 가장 상품으로, 세계에 그 짝이 없는 특색 있는 과자라고 칭찬한 바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과 [韓菓] - 옛날의 간식거리 (한국의 생활사, 김용만)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과 와 유과의 차이점,,

    한과는 유과 에 속함니다.

    유과는 <유밀과(油蜜菓)>의 준말인데요

    쌀가루나 밀가루의 반죽을 밀어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빚은 조각을 기름에 지져서 꿀이나 조청에 잰 과자 입니다

    한과는 유밀과의 한 가지로 꿀이나 설탕에 반죽한 밀가루를 네모지고 납작하게 만들어 기름에 튀긴 다음에 물을 들인 것입니다